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 위험 신호가 커졌다. 10월 들어 호주와 중국에서 AI가 발생한 데다, 지난달 29일 경남 양산 철새도래지의 야생조류 배설물에서 AI 양성반응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AI는 닭, 칠면조, 오리, 철새 등 조류에서 감염되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다. AI는 한 번 발생하면 천문학적인 피해를 입힌다. 전염성이 빠를 뿐만 아니라 감염된 가금류는 모두 살처분해야 하기 때문이다. 과거 4차례 발병으로 6천억원의 피해를 입혔다.
농업경제연구소 자료에 의하면, '2003년 이후 2, 3년에 한 번씩 국내에서 AI가 발생한 사례를 유추해보면 올 11월부터 내년 봄 사이 해외 AI 유입 등으로 다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고 있다. AI 발생 적신호가 나타남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 및 농협 등 유관기관에서는 선제적 방역작업에 총력을 다해야 한다. 아울러 국민 모두가 AI 예방에 동참해야 한다. 특히 중국, 호주 등 AI 발생지역으로의 해외여행을 자제할 필요가 있다.
혹시라도 감염지역을 다녀온 사람들은 공항, 항만 등의 국립검역소에서 신고하는 등 감염경로를 원천적으로 차단해야 한다. 또한 귀국 후 일정기간 동안은 가금류 농장방문을 절대적으로 삼가야 한다.
김주상(농협구미교육원 교수)































댓글 많은 뉴스
'갭투자 논란' 이상경 국토차관 "배우자가 집 구매…국민 눈높이 못 미쳐 죄송"
문형배 "尹이 어떻게 구속 취소가 되나…누가 봐도 의심할 수밖에 없는 사건"
"아로마 감정오일로 힐링하세요!" 영주여고 학생 대상 힐링 테라피 프로그램 운영
"이재명 성남시장 방 옆 김현지 큰 개인 방" 발언에 김지호 민주당 대변인 "허위사실 강력규탄"
'금의환향' 대구 찾는 李대통령…TK 현안 해법 '선물' 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