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파업과 관련, 체포영장이 발부된 박태만 철도노조 수석부위원장 등 4명이 경찰 수배를 피해 24일 밤부터 조계사에 들어가 은신하면서 조계사 인근이 팽팽한 긴장감에 휩싸여 있다. 사찰은 공권력 행사가 쉽지 않은 곳이다.
경찰은 철도 노조원 일부가 조계사에 들어갔다는 첩보를 입수했고, 곧 박 부위원장 등의 소재가 공개됐다. 박 수석부위원장은 25일 조계사를 찾은 정의당 박원석 의원을 통해 정치권과 종교계 등이 대화의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을 원한다는 입장을 전했다고 한다. 철도파업이 오래가면서 노'정 간 불신이 극에 달하면서 국민 불편도 커진 데 대해 해법을 찾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다. 하지만 철도노조는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통해 "파업 대오에 흔들림이 없으며 투쟁은 계속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박 부위원장의 조계사 은신과 철도노조의 강경 기조 재확인 천명이 같은 날 동시에 나온 것은 철도노조의 강온 양면 전략이 반영된 다목적 카드라는 해석이 따라붙는다.
조계사 경내로 들어온 박 부위원장을 포함한 노조원들은 극락전에 머물며 밤을 보냈다. 경찰은 조계사 주변에 3개 중대 300명의 경력을 100명씩 순환 배치하며 검문을 강화했다.
경찰 측은 절 안으로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밖에서 지키고 있다가 박 부위원장 등이 나오면 체포할 것이라 예고했다.
한편, 철도파업 노조 지도부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하며 경찰관을 폭행한 혐의(특수공무집행방해치상)로 김정훈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위원장에 대해 경찰이 신청한 구속영장이 기각됐다. 25일 김 위원장의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을 담당한 서울중앙지법 이상호 판사는 "범죄 혐의의 성립 여부에 관해 다툼의 여지가 있어 방어권을 보장할 필요가 있고, 증거인멸 및 도주의 염려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며 기각 사유를 설명했다. 경찰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이달 22일 철도파업 노조 지도부에 대한 체포영장을 집행하려고 건물 현관에 진입하던 경찰관에게 깨진 강화유리 조각을 던져 눈 부위에 1.5㎝의 상처를 입힌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당시 철도파업 노조 지도부의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민주노총 조합원 등 138명을 검거해 조사했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