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은 그렇게 해마다 오지만
그들이 웃고 있다 말할 수 있을까
어떤 일로 사진을 찍으러 온 사람이 있었는데
자꾸 웃으라 했네
거듭, 웃으라 주문을 했네
울고 싶었네
아니라 아니라는데 내 말을 나만 듣고 있었네
뜰의 능수매화가 2년째 체면 유지하듯 겨우 몇 송이 피었다
너도 마지못해 웃은 거니?
간유리 안의 그림자처럼, 누가 심중을 다 보겠는가마는
아무리 그렇다 해도
'미소 친절' 띠를 두른 관공서 직원처럼
뭐 이렇게까지
미소를 꺼내려 하시는지
여긴 아직 내색에 무심하다
그러니 꽃이여, 그저 네 마음으로 오면 되겠다
-시집 '최선은 그런 것이에요', 문학동네, 2014
감정노동이라는 말을 자주 들을 수 있다. 서비스업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본인의 감정과는 달리 고객에게 친절한 태도여야 한다. 항공기 승무원, 백화점이나 호텔 직원, 전화상담원 등이 이에 속할 것이다. 자신의 감정과는 달리 늘 웃으며 친절해야 하니 힘든 노동일 것이다.
가끔 '고객님, 사랑합니다'란 전화를 받을 때가 있다. 마음에 없는 말이라는 걸 안다. 뭔가 불편하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에서 시인은 꽃도 마지못해 웃는 것이 아닌가 하고 섬세한 감성을 드러낸다. '그러니 꽃이여, 그저 네 마음으로 오면 되겠다'는 오래 간직하고 싶은 시행이다.
시인 kweon51@cho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