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가 목포신항에 안전하게 거치된 후 본격적인 사고 원인 조사가 시작되면 사고를 둘러싼 진실이 3년 만에 드러날 전망이다.
지금까지 공식적으로 발표된 세월호 침몰 원인은 ▷급격한 우회전 ▷무리한 증'개축 ▷화물 과적 ▷부실 고박 ▷복원력 감소 등이다.
'급격한 우회전'이 조타수의 실수인지, 아니면 조타기나 프로펠러 등 기계적 결함 탓인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검찰과 1심 재판부는 조타 미숙 때문이라고 판단했으나 2심과 최종심은 기계적 결함이 없는지를 확인할 수 없다는 이유로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대법원이 인용한 항소심 판단에 따르면 조타수가 항해사 지시에 따라 변침(항로 변경)을 시도하던 중 조타기의 타각이 실제보다 더 많은 각도의 효과를 내 세월호가 급격하게 오른쪽으로 선회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런 현상은 조타 유압장치에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 안에 오일 찌꺼기가 끼었거나 세월호의 양쪽 프로펠러 중 오른쪽 프로펠러가 작동하지 않아 추진력 차이가 생겼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세월호의 선사인 청해진해운은 2012년 10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세월호를 증'개축했다.
B데크(3층)의 선미 부분을 철거하고 A데크(4층)의 선미'갑판'천장을 연장해 2개 층을 만들었는데, 이 공사로 선박 중량이 187t이나 늘고 무게중심은 51㎝ 상승했다.
선수의 오른쪽에 있는 40t 상당의 램프(차량 출입문)는 철거됐고 대신 10t짜리 철판으로 밀폐됐다. 이 때문에 좌현이 30t 더 무거워져 좌우 불균형이 생겼다.
결국 복원성(배가 제자리로 돌아오려는 성질)이 나빠져 선박의 무게 중심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평형수를 1천694t이나 실어야 하는 비정상적인 배가 됐다.
하지만 세월호는 화물을 최대 적재량(1천77t)의 2배 이상(2천142t)을 싣고 평형수는 761t만 채우는 바람에 사고로 이어졌다고 수사당국은 판단했다.
철근, 목재 등의 화물이 제대로 된 고박 없이 무방비로 실리는 바람에 세월호가 왼쪽으로 더 빨리 기울어졌다는 분석도 나왔다.
수사당국의 공식 발표 외에 밀폐됐어야 하는 선미 램프에서 빛이 새어 나왔고 벽면 틈이나 출입문 등 여러 곳에서 물이 들이쳤다는 생존자 진술이 있어 이 부분 역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선체조사 순서, 방식 등 구체적인 계획은 최근 출범한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가 정하게 된다.
선체조사위는 직권으로 세월호 선체, 유류품, 유실물을 정밀하게 조사해 진실을 규명해야 할 책무를 맡았다.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