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총장 손상혁) 연구팀이 원자 단위로 층을 이루는 물질의 소리 움직임을 300나노미터(㎚)의 고해상도로 표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눈길을 끈다. 앞으로 신소재, 태양전지, 촉매 개발 등 분야에서 크게 활용될 전망이다.
DGIST는 지난달 28일 동반진단의료기술융합연구실 김현민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연세대 안종현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대표적 원자적층 구조 2차원 물질인 이황화몰리브덴(MoS2)의 극초속 움직임을 300나노미터의 해상도로 분석할 수 있는 '순간 2차 고조파 이미징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이 기술을 이용하면 결정 상태 물질의 대칭이 깨어질 때 생기는 파장이 다른 파장에 의해 이동된 전자와 격자 간 반응으로 발생하는 약 1천11㎐(1㎐는 1초에 1번 진동) 단위의 소리를 측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원자 단위 2차원 구조체에서 10~15초 단위의 전자 움직임이나 관련된 소리 발생을 측정하려면 '펌프-프로브 방식'의 펄스파를 소재에 쏴 흡수나 반사의 변화를 측정, 분석했다.
이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레이저는 에너지가 높아 샘플 손상, 박리 현상을 일으킬 수 있었고, 샘플 크기가 작으면 분석에 어려움을 겪어 이를 보완하는 연구가 최근 10여 년 동안 국내외에서 진행됐다.
연구팀은 샘플 손상을 줄이는 동시에 레이저 초점 사이즈를 줄이도록 기존의 순간흡수방식 분광기에서 사용되던 레이저 출력을 수천 배에서 수만 배 정도로 줄이고, 실시간으로 시각화하기 위해 고성능 스캐닝 시스템을 적용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이준석 "강유정 대변인, 진실 지우려 기록 조작…해임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