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차 정상회담 일정이 윤곽을 드러내,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의 '길잡이' 역할을 한 문재인 대통령의 발걸음도 다시 빨라지고 있다.
구체적 날짜 공개만 남겨뒀을 뿐 '북미정상회담 2월 말 개최' 자체는 기정사실이 됐으며, 이제 초점은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미국의 상응조치 사이에서 북미가 어떻게 '주고받기'를 하느냐로 옮겨가고 있다.
이에 따라 문 대통령은 2월 말까지 남은 한 달 여 동안 북미가 생산적이고 진전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물밑에서 양측의 거리를 최대한 좁히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내에서도 지금은 북미정상회담의 성과를 끌어내기 위한 중재 행보에 모든 외교력을 쏟아 치밀하게 준비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된 모습이다.
청와대의 이런 인식은 올해 상반기 '최대 이벤트' 중 하나로 꼽히는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문제를 대하는 태도에서도 잘 드러난다.
현재로서는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은 북미정상회담 이후인 3월∼4월 중 이뤄질 것으로 점쳐진다.
김 위원장이 3·1절 100주년 기념식에 맞춰 답방할 수 있다는 예측도 있었으나 북미정상회담 일정을 고려하면 너무 촉박하다는 지적이 나오며, 이에 따라 3월 중순∼4월 사이가 합리적인 답방 시기라는 관측이 자연스럽게 힘을 얻고 있다.
다만 청와대는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에 대한 질문이 나올 때마다 "지금은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이 우선"이라며 답방 관련 논의는 이뤄지지 않는다고 선을 긋고 있다.
여기에는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 및 의제 역시 2차 북미정상회담 결과에 연동될 수밖에 없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만일 북미 협상이 제대로 진전을 보지 못할 경우, 김 위원장이 서울 답방에 대해 느끼는 부담 역시 커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대북제재 문제에 대해 북미가 평행선을 달린다면 남북 정상의 논의 폭도 상당히 좁아질 것으로 보이며, 이 경우 김 위원장의 답방 논의도 지지부진해질 것이라는 우려도 따른다.
청와대 관계자는 20일 "북미정상회담에서 좋은 협상 결과가 나와야, 이를 바탕으로 남북관계 개선 행보 역시 탄력을 받는 것"이라고 짚었다.
댓글 많은 뉴스
'내편은 묻지마 사면, 니편은 묻지마 구속(?)'…정권 바뀐 씁쓸한 현실
'우리 꿈 빼앗겼다' 입시비리 조국 사면에 수험생·학부모·2030 분노 표출
김건희 구속·국힘 당사 압수수색…무자비한 특검 앞 무기력 野
유승준 "사면? 원치 않아…한국서 돈 벌고 싶은 생각도 없다"
김문수, 당사서 '무기한 농성' 돌입…"무도한 압수수색 규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