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크릴오일' 잘 고르는 노하우는 무엇?

SBS
SBS '좋은 아침' 캡쳐

'크릴 오일'이라는 생소한 식품이 인터넷에서 화제다. 9일 오후㎠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어에도 '크릴 오일'이 등장해 인기를 실감케하고 있다.

크릴오일은 남극해에서 서식하는 크릴새우에서 불소 성분이 함유된 껍질만 제외하고 추출한 오일이다. 크릴오일은 몸에 좋은 오메가-3이 주성분으로,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며, 다른 오메가-3 식품들과는 달리 인지질이라고 불리는 분자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 이 크릴오일을 섭취하면 LDL 콜레스테롤(나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낮추고, HDL콜레스테롤(좋은 콜레스테롤)을 높여줘 혈관 내 지방 제거에 효과적이다.

하지만 부작용도 주의해야 한다. 크릴오일의 가장 흔한 부작용으로 위장관련의 배의 불편한 느낌, 식욕감퇴, 가스, 설사 및 메스꺼움 등이 있다. 또 임신 중이거나 모유 수유중인 여성은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 해산물 알러지가 있는 경우 크릴 오일을 먹으면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무턱대고 크릴오일을 먹는다고 효과를 볼 수 있는 건 아니다. 특히 최근 제품 수가 많아지면서 검증 안 된 영양제들도 눈에 띠게 늘고 있어 소비자 스스로 제품을 꼼꼼히 따져서 구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크릴오일을 잘 고르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인지질 함량을 잘 따져봐야 한다. 인지질 함량이 제대로 표기되지 않았거나 표기됐더라도 30%대의 낮은 제품들은 피하는 것이 좋다. 현재 시판되는 크릴오일의 인지질 최고 함량은 56%이므로, 적어도 30% 이상의 인지질을 함유하고 있는 제품을 골라야 한다.

크릴오일을 고를 때 'NCS' 표시가 있는지 보는 것을 추천한다. NCS는 'No Chemical Solvent'의 약자로, 화학용매 없이 추출된 크릴오일에 부여되는 마크다. 크릴오일을 정제할 때 화학용제를 쓰는 경우, 오일에 약품이 남아있는 경우가 발생한다. NCS 표시가 있는 제품의 경우, 화학 성분을 쓰지 않고 효소 분해 등의 안전한 방식을 사용하므로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