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의 종로 출마설이 좀처럼 진도를 나가지 못하고 있다. 황 대표의 입장에서는 종로가 '먹을 것은 없지만 버리기도 아까운' 닭의 갈비뼈(계륵·鷄肋) 같은 존재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황 대표와 차기 대권주자 경쟁을 벌이는 이낙연 전 국무총리는 최근 종로 출마를 선언하면서 황 대표를 향해 "신사적인 경쟁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황 대표가 서둘러 종로 출마를 선언하고 한판 겨루자'는 도발성 발언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황 대표는 여전히 "당에 실제적으로 도움되는 것이 뭔지 고민 중"이라며 즉답을 피했고, 설 연휴 기간에도 장고를 거듭하고 있다.
황 대표가 '정치 1번지' 서울 종로에서 당선됐을 때는 정치적 체급을 부쩍 높여준다는 장점이 있다. 비례대표 초선이었던 이명박 전 대통령은 종로에서 재선에 도전해 당선되면서 이후 서울시장 출마로 이르는 길을 놓았다. 부산에서 낙선을 거듭하던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서울로 지역구를 옮기면서 승부처로 택한 곳도 종로였다.
하지만 황 대표는 이미 대권주자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한 상태여서 종로에 출마해 당선된다고 해도 추가로 얻을 이득이 없는 상황이다. 자칫 종로에서 패배라도 할 경우에는 정치적 위상만 추락한다.
종로 출마를 접고 비례대표로 선회하기에도 명분이 약하다. 이번 당내 공천의 핵심 화두로 '영남권 중진 험지 출마론'이 부상한 상황에서 본인이 몸 사리는 모습을 보인다면 모양새가 좋지 않기 때문이다.
또 종로 출마를 하지 않을 경우 '평창동 토박이'인 김병준 전 비대위원장이나 홍정욱 전 의원 등을 '대타'로 내세워야 하는데 이들이 살아 돌아오면 당내 경쟁자만 늘어난다는 점에서 패착이 될 수도 있다.
이런저런 이유로 종로 출마 선언이 지연되는 점은 대구경북 공천 작업에도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그의 험지 출마가 실현되면 '영남권 중진' 진로 문제와 물갈이 규모 등 후속 작업 방향이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