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시민들에 대한 '심리방역'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감염병에 대한 스트레스에다 경제적인 불안감까지 심리적인 문제가 더해지는 상황이라 이에 맞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신건강 상담에 더해 경제·복지 분야의 지원 정보를 적극적으로 알려 극단적인 선택을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31일 대구통합심리지원단에 따르면 심리상담자들이 코로나19 이후 감염병에 대한 스트레스를 주로 호소했지만, 최근에는 경제적 불안감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 상담자 가운데 확진자 및 자가격리접촉자의 경우 격리해제 후의 생계 걱정을 토로하고 경우가 많다는 것. 비정규직은 당장 일자리를 잃을 수 있고, 정규직이더라도 무급휴가 처지에 놓일 수 있기 때문이다.
대구통합심리지원단에선 하루 평균 1천500~2천 건의 심리상담이 이뤄지고 있는데 이 가운데 상당수가 코로나19 관련 상담이다.
대구통합심리지원단 관계자는 "월세를 내기 어려운 소상공인 자영업자들도 무기력과 우울감, 수면장애 등을 호소하고 있다"며 "저소득층 등 취약한 계층 시민들의 생활고 상담도 많다"고 했다. 지난 28일 대구 수성구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50대 남성이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생활고를 비관해 분신을 시도하기도 했다.
막연한 불안감을 극복하려면 심리 치료뿐만 아니라 경제·복지 지원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동 행정복지센터와 구청 희망복지지원단을 이용할 경우 생활비와 의료·주거 등의 긴급복지지원이 이뤄지고, 채무 문제가 있으면 신용회복위원회를 통해 서민금융지원을 안내받을 길이 있기 때문이다.
구·군의 정신건강복지센터 관계자는 "일시적인 경제 문제로 불안을 느끼는 사람들의 경우 각종 지원 정보를 알게 되면 극단적인 선택을 예방할 수 있다"며 "경찰과 구·군, 정신건강복지센터 등이 연계해 생활고로 심리적인 압박을 받는 고위험군을 찾아내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