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이태원 클럽 발 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가 전국으로 번지면서 지난 6일부터 시작된 생활방역체계를 '사회적 거리두기'로 되돌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생활방역 전환 첫 날이던 6일부터 시작된 이태원 클럽 발 집단감염 사태로 15일 오후 12시 기준 153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
뒤늦게 발견된 신천지 대구교회 집단감염 사태와는 달리 당국의 빠른 대처가 이뤄졌는데도 방역망 밖에서 '조용한 전파'가 진행되면서 여전히 하루 평균 두 자릿수의 확진자가 나오고 있다.
대구경북에서도 15일까지 761명의 이태원 방문자가 코로나19 의심 환자로 분류돼 진단 검사를 받았다. 다행히 아직 검사 중인 10명을 제외한 751명은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지만, 유흥시설 집단감염의 특성 상 접촉자 본인의 신고에 대한 의존도가 커 의심 환자 수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다시 사회적 거리두기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앞서 정부는 생활방역 전환을 발표하면서 "언제든 방역 상황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갈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대구시의 경우는 코로나19 환자가 가장 많았던 특성 상 생활방역 전환 뒤에도 사실상 사회적 거리두기에 준하는 방역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지난 5일 "대구는 코로나19 대유행을 겪었고, 완치 후 재양성자를 비롯해 무증상의 '조용한 전파자'가 상존할 위험이 있다. 철저한 방역에 무게중심을 둘 것"이라고 밝혔다.
다른 시·도에서도 최소한 대구의 방역 체계 수준으로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정부는 이태원 집단감염 사태가 ▷하루 신규 확진자 50명 이내 ▷전체 확진자 중 감염경로를 모르는 사례 비율 5% 이내 등 애초 제시했던 기준을 넘어서지 않는 수준에서 관리되고 있다며 사회적 거리두기 전환에 신중한 입장이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13일 브리핑을 통해 "확산 상황과 감염 전파 상황을 조금 더 관찰하면서 시간을 두고 지켜보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