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22일에도 정의기억연대 회계 부실과 부동산 구매 자금 출처 의혹 등에 휩싸인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당선인 지키기 모드를 이어갔다.
미래통합당 등 야권의 파상 공세 속에 전날 김영춘 의원이 당내에서 처음으로 윤 당선인의 사퇴를 공식 요구하고 나섰지만 적극적으로 차단막을 치는 모양새다.
이해찬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당내 이견 분출을 경계하고 나섰다. 이 대표는 "일희일비하듯 하나하나 사건이 나올 때마다 대응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말했다. 중심을 잡고 사태 추이를 지켜본 뒤 사실관계를 확인해서 당 차원의 의견을 내야 한다는 언급이다. 사실상의 함구령인 셈이다.
설훈 최고위원도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수요집회 기금 등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위해 쓰이지 않았다, 자기가 다 챙겼다. 이런 얘기를 하는 데 그건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그는 함께 출연한 홍문표 통합당 의원이 윤 당선인에 대해 "이완용 보다 더한 사람"이라고 맹공을 퍼붓자 "엄청난 죄인처럼 말씀하시는 데 그게 아닐 가능성이 있다. 반박하는 내용이 있다"고 보호막을 쳤다.
민주당이 신중 기조 속에 윤 당선인을 감싸는 데는 이번 사태로 위안부 피해자 운동의 정당성이 훼손되는 등의 역사 왜곡과 정치 공방으로 확산되는 것을 우려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민주당은 윤 당선인에 대한 비난을 반일 프레임으로 몰아 돌파구를 찾겠다는 의중을 내비쳤다. "역사 왜곡을 시도하는 반민족적 행태"(박광온 최고위원)라거나 "위안부 인권 등과 일본의 역사 왜곡 행위를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건 극우세력의 준동"(이형석 최고위원)이라고 옹호한 발언이 그 방증이라는 것이다.
앞서 유력한 당권주자로 꼽히는 김영춘 의원은 지난 21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민주당이 윤미향 의혹 진상조사단을 꾸려야 한다"고 주장하며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같은 당 박용진 의원과 김해영 최고위원 등이 윤 당선인에 대한 비판을 제기한 바 있지만 사퇴를 요구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민주당은 "사실 확인이 우선"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되풀이했다. 허윤정 대변인은 이날 최고위원 회의 뒤 "윤 당선인에게 제기된 의혹과 관련해 디테일한 보고 자료를 이 대표님이 보셨다"며 "검찰 압수수색이 진행됐으니까 신속하게 팩트를 확인하는 게 우선 필요하다"고 말했다.
분명한 사실 확인이 이뤄지기 전까지는 사퇴 등의 요구에 대응하지 않겠다고 분명히 선을 그은 것으로 받아 들여진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