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오감만족(五感滿足) 독도새우, 울릉․독도 해역 방류!

경북 수산자원연구원, 어린 도화새우 30만 마리 방류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원(원장 박성환)은 일명 '독도새우'로 잘 알려진 어린 도화새우 30만 마리를 23일 울릉·독도 해역에 방류했다.

이번에 방류된 어린 도화새우는 지난해 11월부터 독도 인근 해역에서 포획된 도화새우 중 배에 알을 품고 있는 성숙한 암컷 새우만 구입해 연구원에서 직접 부화하고 사육한 것으로 몸길이 1.5~2㎝의 건강한 종자다.

일반적으로 '독도새우'는 독도 인근 해역에서 잡히는 물렁가시 붉은새우(일명: 꽃새우, 홍새우), 가시배새우(일명: 닭새우), 도화새우(일명: 대하) 3종을 통칭해서 부르며, 이 중 도화새우는 가장 대형종으로 머리 부분에 도화꽃처럼 흰반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몸 길이 20㎝ 이상의 대형 개체는 ㎏당 20만원 이상(마리당 1만5천원 이상)을 호가하는 울릉·독도 고유의 고급 수산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도화새우는 2017년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방한 시 청와대 환영만찬에 올라 유명세를 떨친 바 있고, 최근 전문 유튜버의 먹방·쿡방에 자주 소개되어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다.

연구원은 동해안 새우류 자원 증식을 위해 2013년부터 2018년까지 매년 어린 물렁가시 붉은새우 5만∼10만 마리를 종자생산해 방류했으며, 2018년부터는 국민적 수요가 높은 도화새우의 종자생산에 국내 최초로 성공, 이후 매년 어린 도화새우를 울릉·독도 해역에 대량 방류하고 있다.

이번 방류는 어린 도화새우 30만 마리뿐만 아니라, 유전자 판독을 마친 독도산 왕전복에서 종자생산한 4~5㎝급 독도왕전복 1만 마리도 함께 방류했다.

선상에서 새우가 서식하는 수심 20m 암초지역까지 직접 방류 호스를 이용한 수중방류시스템으로 방류해 어린 새우의 자연 생존율을 극대화하고, 왕전복은 스쿠버 및 해녀의 도움을 받아 적지에 직접 방류했다.

김남일 경상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독도새우 방류를 통해 계속되는 일본의 도발에 대응하여 우리나라 영토의 실효적 지배를 강화하고 우리 경북의 식량 자급력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종자생산 연구 및 자원 조성 사업을 적극 추진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고급 수산물의 대량 생산 및 방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