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11년 만에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역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조차 하반기에 코로나19가 안정된다는 가정에 따른 예측으로, 상황이 악화할 때는 더욱 큰 폭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한은은 내다봤다.
한국은행은 28일 발표한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전망치를 -0.2%로 제시, 기존 2.1% 대비 2.3%포인트(p) 나 낮췄다. 한은이 마이너스 성장을 전망한 것은 2009년 7월 -1.6% 예상 이후 처음이다.
지난 2월 한은은 이미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은 2.3%에서 2.1%로 0.2%p 낮췄지만, 코로나19 사태로 경제 타격이 심각해진 점을 반영해 한 번 더 성장률 전망을 대폭 끌어내렸다.
한국 경제가 역성장했던 해는 1953년 한은이 GDP 통계를 집계한 이후 1980년(-1.6%), 1998년(-5.1%) 두 차례밖에 없었다. 마이너스를 점쳤던 2009년에도 실제 성장률은 0.2%였다.
문제는 -0.2% 전망조차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2분기에 정점에 이르고 이후에는 추가 확산이 없다는 '기본 가정'에 따른 것이란 점이다. 확진자 수가 3분기까지 계속 늘어난다는 '비관적 시나리오'에 따르면 올해 경제성장률 -1.8%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반대로 한은은 코로나19가 보다 빨리 진정된다는 '낙관적 시나리오'에 따르면 0.5% 플러스(+) 성장도 가능할 것으로 봤다.
한편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0.75%인 기준금리를 0.25%p 내린 0.5%로 결정했다. 지난 3월 16일 1.25%에서 0.75%로 기준금리를 내린 '빅컷'을 통해 사상 최초의 '0%대 금리 시대'를 연 이후 2개월 만에 또 금리를 인하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오늘 인하로 기준금리가 실효하한(현실적으로 내릴 수 있는 금리 최저선)에 상당히 가까워졌다"면서 "경제성장률 전망도 불확실성이 매우 높아 당분간은 코로나19 전개 양상에 따라 예상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