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아파트값 상승률이 과거 이명박·박근혜 정부 당시 상승률의 두 배라는 시민사회단체 지적이 나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23일 서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KB주택가격 동향과 한국은행, 통계청 발표자료를 바탕으로 각 정권 출범 첫 달과 마지막 달의 서울 아파트 중윗값을 비교한 결과를 발표했다.
경실련에 따르면 2017년 5월부터 올해 5월까지 문재인 정부 3년간 서울 아파트 중윗값은 한 채당 3억1천400만원(52%) 올랐다.
반면 이명박 정부(2008년 12월~2013년 2월) 때는 1천500만원 하락(-3%)했고, 박근혜 정부(2013년 2월~2017년 3월) 당시에는 1억3천400만원(29%) 올랐다. 두 정권을 합한 상승률은 26%로 문 정부 상승률의 절반에 그쳤다.
서울 아파트값 변동에 따르면 불로소득은 문재인 정부에서 약 493조원, 박근혜 정부에서 155조원 발생한 것으로 추산됐다. 이명박 정부 때는 약 35조원 감소했다.
최저임금으로 중위 가격의 서울 아파트를 사는 데 걸리는 시간은 정권 말 기준으로 이명박·박근혜·문재인 정부에서 각각 38년·37년·43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실련은 "부동산 문제가 점점 악화하는 가장 큰 원인은 문재인 정부 정책에 있다"며 "서울 아파트값이 3억원 넘게 오르는 바람에 최저임금으로 아파트를 장만하는 데 걸리는 기간은 오히려 늘어났다"고 꼬집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