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만 여권·항공사 명칭 개정 움직임… CHINA(중국) 표기 떼나?

집권 2기 시작한 차이잉원 대만 총통, 반(反) 중국 행보 이어가
CHINA(중국) 표기한 대만 여권과, 대만 국적기 이름 바로잡아야

취임연설 중인 차이잉원(蔡英文) 대만 총통. 반(反)중국 성향의 차이잉원 총통은 지난 1월 대선에서 승리 후 현재 2번째 임기를 수행 중이다. 연합뉴스
취임연설 중인 차이잉원(蔡英文) 대만 총통. 반(反)중국 성향의 차이잉원 총통은 지난 1월 대선에서 승리 후 현재 2번째 임기를 수행 중이다. 연합뉴스

대만 독립 성향의 차이잉원(蔡英文) 총통이 연임에 성공한 후 대만 입법원(국회)이 여권 등의 명칭 개정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고 대만언론이 23일 보도했다.

빈과일보와 자유시보 등에 따르면 입법원은 전날 열린 임시회에서 대만 집권당인 민진당이 발의한 '여권과 중화항공 정명(正名·이름 바로잡기) 결의안'을 출석 인원 64명 전원의 찬성으로 통과시켰다.

결의안에는 대만인의 존엄 보호와 해외여행 시에 편리와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대만 여권의 '대만' 등의 이미지를 강화하는 식별력의 향상을 요구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또한 대만 국적기인 중화항공(中華航空)과 중국 항공사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중화항공의 국제적 식별력 강화를 위한 중장기 조치를 적극적으로 논의해야 한다는 내용도 들어있다. 중화항공의 영문명은 '차이나 에어라인'(CHINA AIRLINES)이다.

이에 대해 대만 행정원의 딩이밍(丁怡銘) 대변인은 입법원의 결의에 따라 교통부와 외교부가 대만의 명칭 및 식별도 향상 방안에 대한 논의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대만 언론은 대만이 천수이볜(陳水扁) 총통 시절인 2003년 9월부터 여권 표지에 '중화민국'(REPUBLIC OF CHINA) 외에 '대만'(TAIWAN) 영문 표기를 추가한 새로운 여권을 발급하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중국인으로 오인당해 곤경에 처하는 일이 자주 일어났다고 전했다.

대만 국적의 대형 항공사는 중화항공과 에바항공 (長榮航空 EVA Air)이 있다. 이중 중화항공의 영문명은 차이나 에어라인(CHINA AIRLINES)으로 중국 국적기와 비슷하다는 논란이 일어왔다. 사진 : 중화항공 페이스북 캡쳐
대만 국적의 대형 항공사는 중화항공과 에바항공 (長榮航空 EVA Air)이 있다. 이중 중화항공의 영문명은 차이나 에어라인(CHINA AIRLINES)으로 중국 국적기와 비슷하다는 논란이 일어왔다. 사진 : 중화항공 페이스북 캡쳐

특히 대만이 중화항공(CHINA AIRLINES)의 항공기로 외국에 신종 코로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물자 지원 시 세계 각국에서 이를 중국 국적기인 중국국제항공(AIR CHINA)으로 혼동하는 일이 자주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상황이 연이어 발생하자 대만 각계는 대만의 중화항공임을 알리자는 '중화항공 정명'의 목소리가 높아지기 시작했다.

'정명운동'은 대만이 중국의 일부가 아닌 독립국가라는 점을 강조한 천수이볜(陳水扁) 총통 시절에 탈중국화 조치의 일환으로 지난 2004년 중국 본토와 혼돈될 수 있는 기관이나 기업 등의 이름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취지로 선포됐다. 대만은 앞서 2007년 '중국석유공사'와 '중국조선공사'는 '대만중유'(CPC)와 '대만국제조선공사'(CSBC)로 명칭을 변경한 바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