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지역 보행자 교통사고에서 65세 이상 고령자 사망률이 전국 평균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지난해 국내 교통사고 유형을 분석한 결과 보행 중 발생한 교통사고로 사망한 65세 이상 고령자가 10명 중 6명꼴이었다. 특히 경북은 75명(68.8%)으로 전국에서 노인 교통사고 사망률이 두 번째로 높았고, 대구는 26명(63.4%)으로 네 번째라는 불명예를 떠안았다.
교통안전공단이 최근 발표한 '2019년 보행 중 사망자 교통사고 분석' 자료에 따르면 연령과 상관없이 지난해 전국에서 보행 교통사고 사망자는 모두 1천302명이었다. 이 중 65세 이상 고령자는 743명으로 57.1%의 비율을 보였다. 젊은이에 비해 노인들의 보행 속도가 느린 데다 위급 상황 시 위험을 피하는 신체 능력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고령자의 이동이 많은 전통시장과 병원 주변 등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노인 사망률이 그만큼 높아진다는 점에서 감속과 교통신호 준수 등 주의 운전이 필요하다.
다행한 것은 국내 보행 교통사고 사망자가 조금씩 감소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17개 시·도 전체 사망자 수는 전년 대비 12.4% 줄었다. 특히 대구가 28.1% 감소한 것은 고무적이다. 보다 중요한 것은 지속적인 감소세인데 선진 교통문화와 운전자 의식이 없다면 불가능한 일이다. 인구 10만 명당 보행 교통사고 사망자 수로 보면 OECD 평균이 1.0명인 데 반해 한국은 여전히 2.51명이라는 사실을 새겨봐야 한다.
교통법규 준수와 여유 있는 운전 습관 등 성숙한 시민의식이 없다면 교통사고 피해자는 증가할 수밖에 없다. 최근 교통안전공단 실험에서 '신호등 없는 횡단보도에서 85.5%의 차량이 보행자에 양보하지 않고 먼저 지나간다'는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제는 차량보다 사람이 먼저인 교통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당국도 단속과 지속적인 운전자 계도를 병행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줄여 나가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