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 "비접촉 수용자, 대구교도소로"…성난 지역민들 "대구경북 만만하나?"

정부 "고층 교정시설서 확진자 발생 시, '비접촉 수용자' 대구교도소로 이송"

서울 송파구 동부구치소에서 방역 관계자가 법무부 호송차량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송파구 동부구치소에서 방역 관계자가 법무부 호송차량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고층 교정시설에서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하면 비접촉자들을 대구교도소 신축건물로 이송하기로 결정했다.

앞선 확진 환자의 청송교도소 이송 결정에 이어 비접촉 환자는 대구교도소 신축건물로 이송한다는 계획이다.

정부가 이날 발표한 대구교도소 신축건물은 2016년 11월 달성군 하빈면 감문리 833 일원에 조성됐다.

대구교도소 신축건물은 공사 초기 구석기 중·후기에 이르는 유적이 발견돼 공사 지연이 예상됐으나 다른 유적 존재 가능성이 낮아 예정했던대로 지난해 10월 준공 됐다.

시운전을 거쳐 올 4월 운영을 계획하고 있다.

이같은 소식에 달성군민들은 화들짝 놀란 모습이다.

달성군 관계자는 "준공은 마쳤으나 아직 정식 사용중인 건물이 아닌것으로 안다"며 "군민들에게 미리 이야기 하고 사회적 합의의 절차가 조금이라도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밝혔다.

달성군에 거주하는 하모씨는 "교도소가 있다는 것만으로도 혐오지역으로 낙인찍히는데, 청송에 이어 이번엔 달성군으로 수용자들을 대거 보낸다고 정부에서 광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중대본은 수용자에게 매일 1매의 KF 94 마스크를 지급하고, 교정시설 직원에 대하여는 주 1회 신속항원검사를 실시하여 코로나 외부 유입을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또 6개 기관이 참여한 '서울동부구치소 정부합동대응단'을 지난 2일부터 구성해 환자 발생 경과 및 시설환경적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평가하기 위한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