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물값 인상에 따른 '밥상 물가'가 뜀박질하고 있는 상황에서 에너지와 공공요금 인상 조짐마저 일고 있다. 대파 등 농수산물 식자재 가격이 고공 행진을 한 데 이어 국내 휘발유 가격도 지난해 11월 말 이후 15주 내리 올랐다. 문제는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물가 인상 압박이 예사롭지 않다는 점이다.
요즘 시장 상황을 보면 '월급 빼고 다 오른다'는 말이 전혀 과장이라고 느껴지지 않는다. 액화석유가스(LPG) 가격도 지난해 중반 이후 상승세다. 식당 등 영세업종 연료 및 택시 연료로 많이 사용되는 LPG의 가격 상승은 도소매 물가와 대중교통 요금 상승 압박으로 작용한다. 도시가스(LNG) 도매 요금도 올 들어 오름세를 타고 있는데 이러한 에너지 가격의 인상은 연료비 연동제 시행에 따른 전기료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한국은행은 물가가 크게 오르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 시점에서 통화 당국이 물가 상승 가능성을 낮게만 보는 것은 적절치 않다.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 세계 각국이 사상 유례없는 통화 팽창 및 돈 풀기에 나선 후유증이 인플레이션 폭발로 되돌아오는 것은 시기상의 문제일 뿐이다. 게다가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른 경기 회복 기대감과 경제활동 정상화,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충격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지금은 인플레이션 초입일 수도 있다.
물론, 적정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경기 회복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경기가 불황인 상황에서 물가가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한다면 이보다 나쁜 시나리오도 없다. 자산 가격 폭등 여파로 양극화 현상이 심각한 가운데 인플레이션마저 발생할 경우 서민들이 가장 큰 고통을 겪게 된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힘든 서민들 가계에 주름이 깊어져서는 안 된다. 그런데도 정부는 어디에 신경이 팔려 있는지 그 흔한 물가 관리 대책조차 내놓지 않고 있다. 경기 부양에만 올인할 것이 아니라, 물가 관리에도 신경을 쓰기를 주문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