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찰·검사 사칭 상품권 요구 '100% 보이스피싱'

1, 2월 대구의 상품권 요구 보이스피싱 지난해 24건에서 올해 40건으로
신분증과 공문 전송, 친구추가 요청, 상품권 요구는 모두 보이스피싱

검사를 사칭하며 피해자에게 보내온 검사 신분증과 공문. 대구경찰청 제공
검사를 사칭하며 피해자에게 보내온 검사 신분증과 공문. 대구경찰청 제공

지역 대학생 A씨는 지난달 말 자신을 대전검찰청 감사라고 하는 전화를 받았다. A씨가 대포(차명)통장 사건에 연루돼 있다는 내용이었다. 그러면서 A씨에게 검사 신분증과 수사 공문, A씨 명의 대포통장 등의 사진을 보여주며 "사건과 관련성을 조사해야 하니 협조하지 않으면 강제 수사에 들아간다"고 했다.

A씨가 위협을 느끼자, 검사라고 사칭한 사람은 "금융결제 내역을 확인한 이후에 혐의가 없으면 환불해주겠다"며 "구글 기프트 카드를 구매해서 핀번호를 카톡으로 보내달라"고 했다. A씨는 처벌이 두려워 하라는 대로 했고, 결국 보이스피싱 피해를 입었다.

최근 공공기관을 사칭하며 상품권을 요구하는 범죄가 증가해 주의가 요구된다.

15일 대구경찰청에 따르면 1, 2월 기준 대구의 상품권 요구 보이스피싱 발생은 지난해 24건에서 올해 40건으로 66.6%가 늘었다. 이들 수법은 경찰이나 검사를 사칭하며 수사에 필요하니 상품권을 요구하는 방식이다.

경찰은 수사기관에서 걸려온 전화 중에서 카카오톡으로 신분증과 공문 전송하는 경우, 친구추가 요청, 상품권 핀번호 및 금전 요구 등은 모두 보이스피싱이라고 경고했다. 카카오톡 친구 요청이나 문자로 전송하는 링크 등도 모두 주의해야 할 수법이다.

이대헌 대구경찰청 수사2계장은 "보이스피싱이 갈수록 진화해 사회 경험이 부족한 20대를 대상으로 검찰 등을 사칭해 금전을 요구하는 범죄가 늘고 있다"며 "수사기관에서는 절대로 상품권 등 금전을 요구하지 않으니, 이런 전화를 받으면 꼭 112에 신고를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