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1일부터 시행된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 회복)'로 숨통이 트였던 자영업자들이 다시 불안감에 휩싸이고 있다. 급격한 방역지표 악화로 위드 코로나를 일정 기간 중단할 수 있는 '비상계획'에 돌입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서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최근 들어 거세지자 경기 회복의 밑거름이 된 위드 코로나에도 먹구름이 드리워졌다.
지난 23일에는 신규 확진자가 4천116명으로 처음으로 4천명을 돌파했다. 위·중증 환자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가장 많은 586명에 달했다. 이와 관련 김부겸 국무총리는 "수도권만 놓고 보면 언제라도 비상계획 발동을 검토해야 하는 급박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25일 정부는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제4차 코로나19 일상회복 지원위원회 회의를 열어 코로나19 상황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위원들은 방역 상황이 엄중하고 일상회복을 지속하려면 '선제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선제적 조치에는 재택치료 병상 확충 및 병상 운영 효율화 등 의료체계 개선 추가 접종이 포함됐지만, 위드 코로나 중단 여부는 아직 검토되지 않았다.
그러나 코로나19 상황이 악화되면서 일각에서는 단계적 일상 회복을 멈추고 사적모임 인원과 영업시간 제한 등 방역조치를 다시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부상하고 있다. 네덜란드와 벨기에 등 위드 코로나 이후 확진자 수가 급증한 유럽 국가에서는 이미 '봉쇄 카드'를 다시 꺼냈다.
위드 코로나 시행 한 달도 안 돼 코로나19 재확산이라는 복병을 만난 자영업자들은 불안감에 떨고 있다.
대구 중구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김 모(46) 씨는 "위드 코로나 이후에 겨우 적자를 면하나 했는데, 최근의 확산세로 영업제한이 재개되는 게 아닌지 두렵다"며 "그간 우리 자영업자들은 재산권을 침해받을 만큼 받아왔다. 위드 코로나 중단은 있어서는 안 되는 일"이라고 역설했다.
수성구의 한 이벤트업체 대표 정 모(53) 씨는 "지난해 초부터 지난달까지 손가락만 빨고 있었다. 이제야 겨우 소규모 행사가 몇 건씩 잡히는 상황"이라며 "더욱이 우리 업계는 손실보상 제외업종으로, 별다른 보상도 받지 못했다. 정부가 비상계획을 발동하려 한다면 결사적으로 반대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