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6.25 전쟁 전후 이승만 정권의 대규모 민간민 학살을 '국가범죄'로 언급하면서 향후 기한 및 성역 없이 엄중히 처벌하며 당사자 및 유족의 피해를 국가가 무한으로 책임지겠다고 약속했다. 이는 6.25 전쟁 민간인 희생자 유족들의 자신에 대한 지지 선언을 계기로 밝힌 것이기도 하다.
▶이재명 후보는 23일 오후 7시 14분쯤 자신의 페이스북에 '국가범죄는 기한 없이, 성역 없이 엄단하겠습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자 유족들께서 이재명 지지를 선언해 주셨다. 무거운 책임감을 가진다"고 밝혔다.
이어 "이승만 정권은 한국전쟁(6.25 전쟁)을 전후해 무고한 민간인들을 무참히 학살했다. 국가가 나서지 않아 정확한 통계조차 없지만, 일각에선 백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추산한다"고 설명하면서 "영문도 모른 채 이름만 올렸던 수많은 국민이 국가범죄에 희생되셨다. 유족들께선 박정희·전두환 정권 시기 연좌제로 고통받았고, 지금까지도 그 아픔은 완전히 치유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후보는 "국가의 존재 이유는 첫째가 국민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일"이라고 강조, "국민을 지켜야 할 국가가 저지른 범죄는 기한 없이, 성역 없이 엄중 처벌하겠다. 당사자와 유족께서 입은 피해는 국가가 무한으로 책임져야 한다"고 약속했다.
이어 "제주 4.3특별법이 올 초 개정되고, 작년 제2기 진실화해위원회가 활동을 재개하는 등 문재인 정부에서 일부 성과가 있었다"면서 "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자들께도 특별법 등 항구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명예를 회복하고, 피해엔 특별한 보상이 따라야 할 것"이라고 관련 후속 입법 등을 공약했다.
이재명 후보는 글 말미에서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며 "완전한 진상규명과 특별한 피해보상, 이재명이 하겠다"고 했다.
▶이승만 전 대통령과 관련해 이재명 후보는 공식 선거운동 시작 하루 전이었던 지난 14일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아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영삼 전 대통령 묘역에 이어 박정희 전 대통령과 이승만 전 대통령 묘역도 참배해 눈길을 끌었다.
5년 전에는 거부했던 박정희·이승만 전 대통령 묘역을 찾았기 때문.
이날 이재명 후보는 방명록을 통해 "5년 전 (대선)경선 당시 내 양심상 그 독재자와 한강 철교 다리를 끊고 도주한, 국민을 버린 대통령을 참배하기 어렵다고 말씀드린 바 있다. 그러나 5년의 세월이 지나면서 저도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고, 저의 사회적 역할도 책임감도 많이 바뀌고 커졌다. 국민의 대표가 되려면 특정 개인의 선호보다는 국민의 입장에서, 국가의 입장에서 어떤 것이 더 바람직한지를 생각해야 한다고 지금은 생각한다"고 이유를 드러내기도 했다.
5년 전인 2017년 성남시장으로 있으면서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 나섰던 이재명 후보는 당시 박정희·이승만 전 대통령 묘역 참배를 거부하면서 그 이유로 "이승만 전 대통령은 친일 매국 세력의 아버지이고, 박정희 전 대통령은 군사 쿠데타로 국정을 파괴하고 인권을 침해했던 그야말로 독재자"라며 "친일 매국 세력의 아버지, 인권을 침해한 독재자에게 고개를 숙일 수는 없었다"고 밝힌 바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