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0일 전면 개방을 앞두고 청와대 경내 소재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보물 제1977호·일명 청와대 불상)의 원위치 이전 여론이 다시 커질지 관심이 쏠린다.
경상북도와 경주시 안팎에서는 일제 강점기 아픈 역사를 간직한 청와대 불상이 원래 있었던 이거사 터로 돌아오는 게 순리라는 견해가 강하다.
청와대 불상은 1912년 데라우치 마사타케 조선총독이 경주 고다이라 료조 자택에서 본 뒤 이듬해 서울 남산 총독관저로 옮겨졌다. 1930년대 청와대 위치에 새 총독관저를 지으며 다시 이전됐다. 1974년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됐다가 2018년 4월 보물로 승격된 바 있다.
그간 불상 원위치 논쟁이 많았지만 2018년 10월 일제 강점기 문헌인 '신라사적고'에서 불상 원위치가 이거사 터임을 알려주는 결정적인 내용이 발견돼 논란은 종식됐다.
이후 2019년 경주시, 경주시의회, 경주문화재제자리찾기시민운동본부 등은 국회, 청와대, 문화재청 등에 불상의 경주 반환을 요청하는 움직임도 벌였다.
이들은 "청와대 불상이 나라를 빼앗긴 시대에 천년고도 경주를 떠난 지 100년이 지났다"며 "역사 적폐를 청산하고 불상을 제자리로 모실 수 있도록 청원한다"고 밝혔다.

경주시는 2020년 예산을 들여 이거사 터 일부 구역에 대한 정밀발굴조사도 벌였다. 조사 결과 통일신라시대 건물지, 배수시설, 다량의 기와, 가공 석재 등을 확인했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 대통령 선거 등 혼란한 국내 상황 속에 청와대 불상 이전 논의는 수면 아래로 가라 앉았다. 그러던 것이 윤석열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 공간 용산 이전 및 청와대 개방과 맞물려 다시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경북도, 경주시 등 지역에서는 일제 강점기 아픈 역사를 간직한 청와대 불상은 당연히 원위치로 돌아와야 한다는 견해가 강하다. 경북도민의 압도적 지지로 당선된 새 정부가 이러한 지역 여론을 감안해 청와대 불상 이전 논의를 본격화해야 한다는 기대감도 적잖다.
다만 불교계의 입장도 있어 조심스러운 분위기이다.
지역 관가의 한 관계자는 "불교계에서는 청와대 경내에 있는 불상의 상징성, 서울이란 공간의 접근성 등을 고려해 이전에 부정적인 입장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정치권이나 정부 입장에서도 불교계와 마찰을 빚으면서까지 이전 논의를 본격화할지 두고봐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