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상훈 "삼성 등 기업, 'MBC 광고 중단' 의무"…MBC "심각한 우려"

국민의힘 김상훈 비대위원이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상훈 비대위원이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인 김상훈 의원은 17일 MBC를 향해 "윤석열 대통령과 현 정부에 악의적인 보도와 의도적인 비난으로 뉴스를 채워왔다"고 비판하며 한 보수단체의 MBC 광고기업 제품 불매운동을 거론하자 MBC와 언론계가 크게 반발했다.

김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MBC를 편파 왜곡방송으로 규정하고, MBC 광고기업 제품 불매운동에 동참 서명한 사람들이 33만명을 넘어서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의원은 "MBC는 윤석열 대통령과 현 정부에 악의적인 보도와 의도적 비난으로 뉴스를 채워오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MBC 프로그램은 유력 대기업 광고로 도배돼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 있다"며 "많은 대기업이 초대형 광고주로 MBC의 물주를 자임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특히 모 대기업은 수십 년간 메인뉴스에 시보 광고를 몰아주고 있으며, MBC 주요 프로그램에 광고비를 대고 있다"며 "2005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MBC 메인뉴스 앵커가 대기업 임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참으로 돈독한 관계가 아닐 수 없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MBC 광고 제품 불매운동에 동참하고 있는 분들은 사회적 기업이자 국민의 기업인 삼성과 여러 기업들이 MBC에 광고로 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즉각 중단해야 하며 이는 선택이 아닌 의무라고 역설한다"며 "공영방송을 자처하고 있는 MBC와 광고주들이 귀를 기울여야 할 대목"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공공성을 포기하고 정치를 하는 방송은 특징이 있다. 든든한 물주를 배경으로 삼고 있다"며 "검언유착 오보, 자막 조작 의혹, 우방국과 관계 훼손, 대역 왜곡 등 현 정부를 흠집 내고 갈등을 조장하는 MBC 또한 다르지 않다"고 꼬집었다.

이에 MBC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문화방송은 자유민주주의와 자유시장경제의 근간을 뒤흔드는 광고 불매운동 발언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며 "1970년대 유신 독재 시절 '동아일보 광고 탄압 사태'에서 보듯, 광고 불매운동은 가장 저열한 언론탄압 행위"라고 강조했다.

MBC는 "이 국회의원은 특정 기업 이름을 구체적으로 열거하는 방식으로 기업들을 협박하고 있다"며 "권력이 자신의 입맛에 맞지 않는 보도를 한다고 노골적으로 광고주들을 협박하고 위협하는 행위는 견제받지 않는 권력을 꿈꾼다는 자기 고백이자 징표"라고 밝혔다.

한국기자협회도 이날 성명서을 내고 "MBC에 대한 전용기 탑승 배제, 국세청 추징금 520억원 부과에 이어 이번엔 광고 탄압"이라며 "MBC에 대한 광고 탄압 발언을 당장 거둬라"라고 촉구했다.

기자협회는 "1974년 박정희 군사독재정권 시절 동아일보와 동아방송이 정권의 압력으로 기업 광고가 실리지 못한 사실이 있는데 마치 역사의 시계가 48년 전으로 되돌아간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며 "국민의힘 김상훈 비대위원은 자신의 발언에 대해 사과하고 당장 비대위원을 사퇴하고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은 역사의 죄인이 되지 말라"고 경고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