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학원 모의고사와 똑같아" 수능 영어 23번 논란

"23번 지문 대형 입시학원 사설 모의고사 지문과 거의 동일"
평가원, "우연의 일치… 개별 강의에서 제공된 문제는 확인 어려워"

매일신문 | "사설 모의고사랑 똑같아" 수능 영어 23번 두고 논란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2023학년도 수능 영어 영역 23번 문항(왼쪽)과 대형 입시학원의 유명강사가 배포한 모의고사 문항.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2023학년도 수능 영어 영역 23번 문항(왼쪽)과 대형 입시학원의 유명강사가 배포한 모의고사 문항.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지난 17일 치러진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영어영역 일부 문항이 대형 입시업체의 사설 모의고사 문제와 거의 비슷하다는 지적이 나와 논란이 일고 있다.

21일 수험생 10여 명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2023학년도 수능 문제 및 정답 이의신청 게시판'에 영어영역 23번 문항에 대한 이의를 제기했다.

논란이 된 23번 문항의 지문은 캐스 선스타인 미국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가 펴낸 '투 머치 인포메이션(Too Much Information)'에서 발췌한 글로, 지문을 읽고 주제에 가장 적절한 것을 찾는 3점짜리 문항이다.

이의를 제기한 수험생들은 "이 지문이 대형 입시학원의 유명 강사가 제공한 사설 모의고사 지문과 한 문장을 제외하고 동일해 모의고사를 미리 풀어보고 해설 강의까지 들은 학생들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고 주장했다.

한 이의 신청자는 "이미 한번 풀고 해설 강의를 들은 학생들은 지문을 해석하고 분석하지 않아도 문제를 더 빨리 풀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우연의 일치일 뿐이며 이 문제가 사교육 입시 강사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다"고 입장을 밝혔다.

시중에 출판된 문제집의 경우 미리 확인해 비슷한 문제가 없는지 검토하지만, 강사들이 개별적으로 강의 시간에 제공한 문제는 확인이 어렵다는 것이다.

평가원 관계자는 "출제위원이 여러 문제를 준비하고, 또 한 명이 출제한 문제가 마지막까지 가는 것은 쉽지 않다"면서 "출제위원들이 모평 문제집까지 다 검토해서 출제하고 시중 문제집도 확인하는데 강사들이 개별 강의하는 것까지 다 파악할 수는 없다"고 해명했다.

한편, 수능 시험 문제 및 정답에 대한 이의 신청 마감일인 21일 오전까지 400여건의 신청이 접수됐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