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경제·경영계, 주52시간 개정 권고안 '환영'

"삼중고 속 인력난 해소 큰 도움"…'11시간 연속휴식시간제' 도입 권고는 반대

권순원 숙명여자대학교 교수가 12일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호텔에서 미래노동시장연구회 권고문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권순원 숙명여자대학교 교수가 12일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호텔에서 미래노동시장연구회 권고문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구 경제·경영계가 주 52시간제 개선안을 담은 권고안에 대해 "적극 찬성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경직된 노동시장을 변화시켜 기업의 경쟁력을 키우는데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다.

대구상공회의소 관계자는 12일 매일신문과의 통화에서 "지역기업들은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삼중고 속에서 주 52시간제까지 지키느라 심각한 경영 위기를 겪고 있다"며 "권고안이 시행된다면 기업들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날 미래노동시장연구회는 주 52시간제와 임금체계 개편 등을 핵심 내용으로 한 권고안을 정부에 전달했다. 현행 연장근로 시간 관리 단위를 '주'에서 최대 '연' 단위까지 선택권을 넓히자는 내용이다.

중소기업중앙회 대구경북본부 관계자 또한 "지역기업들은 만성적인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다"며 "주 52시간제가 개편되면 인력난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날 대한상공회의소도 입장문을 내고 "미래노동시장연구회의 권고안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며 "근로시간과 임금체계 개혁의 기본방향에 대해 공감한다"고 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도 "노사의 자율적인 선택권 보장을 위한 다양한 근로 시간 제도 개선 방안은 바람직하다"며 "협력적 노사관계를 형성하려면 글로벌 기준에 맞도록 개선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나 '11시간 연속휴식시간제' 도입 권고에 대해서는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연구회는 장시간 근로를 막고 충분한 휴식을 보장하려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근로일 간 11시간 연속휴식을 부여할 수 있도록 제안했다.

대한상의는 이에 대해 "근로시간의 자율적 선택권 부여라는 개혁 취지가 반감될 것"이라며 "노사가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도 "우리나라 노사협력지수는 141개국 중 130위에 해당할 정도로 후진적"이라며 "향후 정책 반영 단계에서 산업현장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