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3월 8일 치러질 국민의힘 전당대회 지도부 경선의 승패를 결정할 책임당원(유권자)의 수가 78만 여명에 달함에 따라 당권주자들의 대중적인 인지도가 최종 승부를 가를 것이라는 전망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온라인 입당방식이 활성화 돼 당의 세포조직을 책임지는 당원협의회위원장과 일면식도 없는 당원의 수가 급격하게 늘었고,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투표가 가능해 과거처럼 당원협의회 간부들을 동원해 조직력을 발휘하는데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선 이른바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들이 공세적인 '윤심팔이'와 차기 총선 공천압박으로 기선을 제압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현재의 분위기가 실제 득표로 연결될지는 미지수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뉴시스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국민리서치그룹·에이스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7일부터 29일까지 국민의힘 지지자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천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의힘 차기 당 대표 적합도 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포인트, 무선 임의전화걸기(RDD) 100% 자동응답(ARS)방식, 응답률 1.0%)에서 나경원 전 원내대표가 30.8%로 1위로 기록했다.
안철수 의원은 20.3%로 2위, 김기현 의원은 15.2%로 3위로 집계됐다. 유승민 전 의원은 6.9%를 얻어 주호영 원내대표(8.1%)에 이어 5위를 기록했다. 이밖에 황교안 전 대표(6.0%), 조경태 의원(2.9%), 권성동 의원(2.0%), 윤상현 의원(1.0%) 순으로 조사됐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지난 연말 실시된 다른 여론조사의 결과도 비슷하게 나왔다.
당내에선 '김장연대'의 한 축인 김기현 전 원내대표를 제외하면 친윤계가 큰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며 지난 2021년 전당대회와 마찬가지로 후보들이 인지도 순으로 득표율을 기록할 공산이 크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전당대회에서 각 지역의 당원협의회위원장이 경선투표에 영향력을 직접적으로 미칠 수 있는 당원은 많아야 200명(버스 5대) 내외로 전국적으로 열심히 모아도 3만명 규합이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선거인단 투표율을 보수적으로 약 20%(2021년 전당대회 당원선거인단 투표율 36%) 정도로만 잡아도 선거참여자 수가 15만 명이 넘는데 아무리 윤핵관이라 하더라도 조직표 만으로는 안 되고 당권주자 본인의 대중적 인지도와 윤 대통령의 가시적 지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특히 지금까지 전면에 나섰던 친윤계 주자들이 단기간에 인지도와 지지율을 끌어올리지 못 할 경우 당선 가능성에 의문부호가 붙으면서 후보 교체 요구에 직면할 수 있다는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