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가 최근 급증하는 중국발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중국인 입국 제한을 강화하자 중국 내에서 불만이 들끓고 있다. 국내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빗장을 다시 걸어잠근 것인데, 중국에선 한국을 향한 질타가 거세지고 있는 양상이다.
앞서 지난달 30일 우리 정부는 중국발 코로나19 확산세가 심상치 않다고 판단해 고강도 방역 대책을 세웠다.
이에 따르면 내달 말까지 중국에서 입국하는 사람은 입국 전후 모두 코로나19 검사를 받도록 했다. 유전자증폭(PCR) 또는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RAT)를 통해 음성이 확인되는 경우에만 국내행 비행기 탑승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 이달 말까지 외교·공무와 필수적 기업, 인도적 사유 등을 제외한 단기비자 발급도 제한하기로 했다. 아울러 중국발 항공편의 추가 증편도 잠정 중단했다.
사실상 중국에 대해 입국을 제한한 것인데 이를 두고 중국 내에선 한국을 향한 비판 여론이 거센 분위기다.
한 중국의 온라인에선 '일본도 미국도 아닌 한국이 이럴 줄 몰랐다', '한국에 갈 필요가 없다', '모욕적이다' 등 한국에 대한 비판성 글이 쏟아지고 있다.
아울러 중국 당국에서도 한국의 방역 정책에 대해 유감을 드러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각국의 방역 조치는 반드시 과학적이고 도를 넘지 말아야 한다"며 "정상적인 인원 교류와 교류 협력에 영향을 줘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노골적으로 불만을 드러냈다.
이런 가운데 중국발 코로나19가 이미 국내에 확산하고 있는 모양이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 2일 인천공항으로 국내에 들어온 중국발 입국자 중 61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단기 체류 외국인이 309명인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5명당 1명꼴로 확진된 셈이다.
여기에다 정부는 중국과 인접한 홍콩·마카오에 대해서도 오는 7일부터 검역을 강화하기로 했다. 중국에 대한 방역 조치와 마찬가지로 입국 전 PCR 및 신속항원검사가 의무화된다.
중앙방역대책본부 관계자는 "최근 홍콩에서 확진자와 사망자 수가 증가하고 지난달 홍콩발 입국자 수가 중국발 입국자 수를 추월한 점과 주요국 동향 등을 고려해 결정했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