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백률사에서 도난당한 지장탱화가 20여 년 만에 경주로 돌아온다. 지장탱화는 지장보살에 대한 신앙을 묘사한 불화다.
22일 대한불교조계종 등에 따르면 백률사 지장탱화는 대웅전 본존불 뒤에 있던 노사나불도와 함께 2001년 6월 19일 새벽 도난당했다. 노사나불도는 2014년 10월 환수돼 현재 불국사 성보박물관에 보관돼 있다.
백률사 지장탱화는 2020년 7월 한 도난문화재 은닉처에서 전국 14개 사찰에서 도난당한 32점의 불교문화재와 함께 발견됐다. 이후 소유권을 둘러싼 재판이 진행돼 지난해 9월 2심에서 원소유자로 소유권이 인정됐다.
이 탱화는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보관돼 있다. 남은 행정 절차를 마친 뒤 올해 안에 제자리로 돌아올 수 있을 것으로 대한불교조계종은 예상하고 있다.
지장탱화는 가로 245㎝, 세로 277㎝ 크기다. 지장보살을 본존으로 도명존자와 무독귀왕, 주요 권속(眷屬) 등이 그려져 있다. 1900년대 작품으로 비지정문화재다.
이 작품은 도난 이후 제대로 보존이 되지 않아 일부가 손상된 상태다. 대한불교조계종 관계자는 "보존 상태뿐만 아니라 도난 당시 칼로 그림 부분만 도려낸 탓에 장황이 없는 상태"라며 "경주로 돌아가더라도 바로 공개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문화재청에 따르면 1993년 이후 비지정문화재를 포함해 경주에서 발생한 문화재 도난 사례는 모두 28건이다. 1990년대 6건, 2000년대 17건 등 문화재 관리가 지금보다 허술했던 시기에 집중됐다. 특히 보물 제959호 기림사 비로자나불 복장유물 중 전적(감지은니묘법연화경‧감지금니묘법연화경, 1993년 도난)과 사적 제311호 창림사지 내 석탑재 2점(2008년 도난) 등도 도난당해 행방이 묘연한 상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