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2대 국회의원선거가 1년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지역민들의 또 다른 관심사는 보수 정당 소속 정치인 일색의 대구경북 정치권에 '메기효과'를 발휘할 야당 국회의원 탄생 여부다.
지역구 주민들과 동고동락하며 바닥민심을 다져온 '토종 인사'가 새로운 역사를 쓰면 지역주의 완화라는 한국정치의 숙제까지 풀면서 단숨에 스타 정치인으로 부상할 수 있다.
지난해 실시된 제20대 대통령선거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각 정당이 획득한 표를 고려하면 야당 가운덴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신화를 쓸 가능성이 가장 높다. 지난해 대통령선거 당시 이재명 후보는 대구에서 21.6%, 경북에서 23.8%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대구와 경북에서 1%대 득표율에 그쳤다.
이에 임미애 경북도당위원장과 강민구 대구시당위원장을 비롯해 각 지역위원장이 선거구를 누비며 유권자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지난해 대선 당시 민주당 후보 득표율이 높았던 안동시·포항시·영주시·김천시 등이 주목받고 있다. 아울러 최초로 민주당 당적 시장을 배출했던 구미시에서도 이변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다만 토종인사들이 '사고'를 치지 못하면 외부에서 수혈된 영입인사에게 기대를 걸 수밖에 없다. 수도권에서 활약하고 있는 '고향까마귀'가 복귀하는 '김부겸 모델', 문재인 정부에서 고위직을 지낸 출향인사가 차출되는 상황도 상상할 수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윤석열 정부의 실정과 여당의 헛발질 그리고 지역정서를 거스르는 낙하산 공천이 겹친 상황은 돼야 우리 당 후보가 당선을 겨냥할 수 있다"며 "자력보다는 선거제도 개편을 통한 의석 확보(대구경북)가 현실적"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국회의원 선거구에서 두 명 이상의 후보를 선출하는 중대선거구제를 도입하거나 지역별 정당득표율에 따라 의석을 배분하는 권역별비례대표제를 도입할 경우 민주당도 대구경북에서 현역 금배지를 배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지역구와 비례대표 후보로 동시에 출마가 가능한 석패율 제도가 도입되도 지역에서 야당 국회의원 탄생을 촉진할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