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저축은행 부실채권 5% 초과… 자산건전성 '빨간불'

올해 1분기 저축은행 업계 고정이하여신 비율 5.1%
지난해 말 4.04%에서 1.1%p 올라… 오름세로 반등
업계 연체율도 5.1%, 5% 넘긴 건 2016년 이후 처음

저축은행중앙회 로고. 중앙회 제공
저축은행중앙회 로고. 중앙회 제공

저축은행 업계의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이 5%를 돌파하면서 자산건전성 악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NPL은 연체 기간이 3개월을 넘긴 '부실채권'을 의미한다.

1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저축은행 업계의 NPL 비율은 5.1%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4.04%)에 비해 1.1%포인트(p) 오른 수치다. NPL 비율은 2019년 4.7%, 2020년 4.24%, 2021년 3.35%로 하락세를 보이다 지난해 4.04%로 반등했다.

1분기 저축은행 업계 연체율도 5.1%로 잠정 집계됐다. 5%를 넘긴 건 지난 2016년 말(5.83%) 이후 처음이다. 연체율은 2021년 2.51%까지 떨어졌지만 지난해 3.41%로 반등한 뒤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경기 침체로 중·저신용자 차주(대출자) 어려움이 커지면서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상승했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이처럼 건전성 지표는 악화하고 있지만 '아직은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게 업계측 설명이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은 최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2014년 저축은행 사태 당시 연체율 14∼15%와 비교하면 5%대는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건전성과 시스템 리스크와 관련해 저축은행 포트폴리오는 여전히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연체율 증가에 대해서는 상각 대상 자산의 매각, 상각 절차가 지연되는 부분이 있어 금융기관들이 조금 더 신속하게 부담을 덜어낼 방법이 있는지 금융회사·협회와 논의 중"이라고 했다.

금융 당국은 저축은행 연체율 상승이 신규 연체 외에도 NPL 매각 지연 등과 연관된 만큼 NPL 매각 통로를 다양화하는 등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아울러 1분기 말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자산은 135조1천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2.5%(3조5천억원) 감소했다. 순손실 규모는 600억원으로 추정됐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적자로 돌아선 배경으로 수신금리 인상에 따른 비용과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을 꼽았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업계 1분기 평균 자기자본비율(BIS)은 13.6%로 지난해 말(13.15%)보다 0.45%p 올라 금융 당국 권고 비율(11%)보다 높다며 손실흡수 능력이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중앙회는 "1분기 유동성비율(241.4%) 역시 법정 기준(100%)을 큰 폭으로 상회했으며 하반기부터 영업실적이 호전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