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매매 시장은 물론 정비사업(재개발·재건축)을 통한 아파트 청약시장에서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경쟁률 격차가 커지는 등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정비사업 단지에는 수만 명의 청약자가 몰리며 '로또 청약' 열풍이 이어지고 있는 반면, 지방은 불리한 세제 구조와 집값 정체, 지역 내 양극화 심화까지 겹치며 침체의 늪에 빠졌다.
20일 분양평가 전문회사 리얼하우스가 청약홈에 올해 7월까지 공고된 민간 아파트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 정비사업지에는 1천592가구 모집에 7만4천78명이 청약에 도전해 평균 경쟁률 46.53대 1을 기록했다. 앞서 지난해에도 수도권 정비사업 경쟁률은 47.57대 1 수준으로 큰 인기를 끌면서 청약 경쟁률이 두 해 연속 '고공행진'이다.
특히 올해 서울에서 공급된 민간 아파트 일반분양 물량의 68%가 정비 사업을 통해 나올 정도로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다.
이에 반해 비수도권은 지난해 4천528가구 모집 과정에서 33.67대 1의 경쟁률을 보였으나, 올해(4천265가구) 7.27대 1로 폭락했다. 인구 감소와 시장 동력 약화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투자 성격의 수요가 빠르게 이탈한 것으로 분석된다.
양도세 제도와 집값 상승률 격차 등 지방의 구조적 불리함도 격차를 키운다. 또 같은 지방 내 양극화도 이 같은 문제를 더욱 양산하고 있다. 특히 대구의 강남으로 불리는 수성구는 고·저가 아파트 가격차가 오히려 강남보다 심했고, 국토연구원 조사에서 전국 2위를 차지했다.
대구 사례는 지방 부동산 시장의 현실을 단적으로 드러낸다. 청약 경쟁률은 지난해 11.72대 1에서 올해 75.19대 1로 치솟았다. 그러나 모집 물량이 754가구에서 43가구로 줄어들며 전체 청약자 수는 오히려 8천836명에서 3천233명으로 감소해 숫자상의 '착시 효과'와 달리 시장 침체는 더욱 심화했다.
김선아 리얼하우스 분양분석팀장은 "신규 택지 공급이 거의 막힌 상황에서 정비사업이 청약시장의 핵심 공급 축으로 자리매김했다"며 "여기에 이른바 '로또 효과'와 도심 입지의 희소성까지 겹치면서 수요 쏠림은 앞으로도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한동훈 "조국 씨, 사면 아니라 사실상 탈옥, 무죄라면 재심 청구해야"
'조국 특사' 때문?…李대통령 지지율 51.1%, 취임 후 최저치
"횡령 의도 없다"…경찰, 문다혜 '바자회 모금 기부 의혹' 무혐의 처분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