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줄었나? 늘었나?' 고령화·청년인구감소에 고용통계 착시현상 가속화

"연령별 취업현황 분석엔 취업자 수 증감·고용률·실업률 모두 고려해야"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한 구직자가 일자리 정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한 구직자가 일자리 정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고령화와 청년 인구 감소로 인해 고용 통계에서 착시 현상이 가속화하고 있다. 상당 부분의 고용 인구 변화가 연령별 인구 증가와 감소에 따른 자연적 인구 요인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15일 통계청 고용동향에 따르면 4월 기준 청년(15~29세) 취업자 수는 388만1천명이다. 지난해 같은 달 대비 13만7천명이나 감소했다.

단순히 통계만 따진다면 청년층 일자리가 1년 만에 13만7천개 사라진 것이다. 그만큼 고용 상황이 악화해 경제 상황이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용 통계는 지난해와 올해 취업자 수를 중심으로 개선됐거나 악화했다고 평가하는 방식이다.

다만, 이같은 통계청의 전통적 평가 방식은 지난해와 올해 인구가 비슷했을 경우에 성립한다. 인구가 늘고 줄어드는 것에 대한 평가는 하지 않다 보니 단순 수치만 두고 평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지난달 청년층 취업자 수를 연령대별 인구수 증감과 함께 분석하면 결과는 상당히 다르게 나온다.

4월 기준 청년층 경제활동인구는 843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18만2천명이나 줄었다. 이에 지난해 4월 고용률(46.6%)을 적용하면 인구 요인으로 청년층 취업자는 8만5천명 가량 줄었다고 추정된다.

즉 수치적으로는 청년층 취업자 13만7천명이 줄어든 것은 맞으나, 자연 감소분(8만5천명)을 제외하면 경제 상황으로 줄어든 일자리는 5만2천명으로 집계된다.

지난 1월은 인구 요인으로 취업자 수 증가·감소 수치가 뒤집히기도 했다.

1월 청년 취업자는 5만1천명 줄었는데 이달 기준 인구가 8만6천명이나 줄었다. 즉, 취업 인구가 3만5천명이나 늘었지만, 통계청은 5만1천명이 감소했다고 발표한 것이다.

베이비붐 세대로 인한 인구 급증 등 고령화 상황에서 60세 이상은 청년층과 반대 현상을 보이고 있다.

4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는 지난해 4월 대비 44만2천명이 늘었다. 이 가운데 자연 증가분이 23만1천명이나 된다. 즉 고령층 취업자의 절반 이상이 단순히 연령대별 인구 증가로 발생했다는 것이다.

이 같은 이유로 정부는 연령별 취업 현황을 분석할 때는 취업자 수 증감과 고용률, 실업률 통계를 함께 분석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