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스공사의 도시가스용과 발전용을 합한 미수금이 올해 2분기에만 1조원이 더 늘었다. 가스공사의 지금까지 미수금 규모만 15조를 넘어서고 있다.
가스공사는 11일 기업설명(IR) 자료를 통해 올해 2분기 기준 도시가스용 미수금 12조7천609억원, 발전용 미수금 2조5천953억원 등 미수금이 총 15조3천562억원으로 집계됐다고 공개했다.
미수금은 전 분기(14조2천919억원)보다 1조643억원 늘어났다. 미수금이란 천연가스 수입 대금 중 가스 요금으로 회수되지 않은 금액으로 가스 구맷값보다 판맷값이 쌀 경우 적자분을 외상값과 같은 자산으로 분류한 뒤 가스요금 인상을 통해 회수하고 있다.
가스공사의 미수금은 2018년 4천826억원에 그쳤지만, 2019년 1조2천763억원으로 처음 1조원대를 넘어섰고 2020년 1조2천106억원, 2021년 2조9천299억원 등으로 늘었다.
국제 가스 가격이 급등한 지난해에는 12조207억원까지 폭증했다.
앞서 가스공사는 올해 상반기 말 기준 도시가스 민수용 미수금이 지난해 말 대비 3조6천579억원 증가한 12조2천435억원으로 집계됐다고도 밝혔다.
미수금 증가 원인에 대해 가스공사는 "국제 에너지 가격의 안정으로 미수금 증가 폭은 둔화했지만, 여전히 민수용 도시가스는 원가 이하로 공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스공사의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은 2천5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29.1%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올해 상반기 기준 영업이익은 7천93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천86억원(34%) 줄었다.
영업이익 감소는 것과 취약계층에 대한 가스요금 지원을 확대한 것이 주요 요인이라고 밝혔다.
가스공사는 IR 자료에서 상반기 영업이익 감소 요인으로 '취약계층 요금 지원 금액 확대'(-1천962억원)와 '전년도 발전용 원료비 차익 정산'(-2천952억원) 등을 꼽았다.
동절기(12∼3월) 취약 계층의 도시가스 요금 지원액을 확대하고, 지난해 발생한 원료비 손익을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에 차감 반영한 데 따라 영업이익이 감소했다는 것.
매출은 8조1천276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8.2% 감소했고 순손실은 667억원으로 적자로 돌아섰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