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콘텐츠 확산과 함께 K-푸드에 대한 관심도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대표적인 한국 식품인 '김'과' 막걸리'가 수출 효자품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검은 반도체라고도 불리는 '김' 수출은 올해에도 호조를 보였다.
3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올해 김 수출량은 지난 8월까지 2만4천862t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6.4% 늘었다. 수출액 역시 5억4천68만달러로 작년보다 16% 증가했다.
김은 크게 마른김과 조미김으로 나눠 해외로 수출된다. 수출량을 보면 마른김이 1만2천682t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8.1% 늘었고 조미김도 1만2천139t으로 6.3% 증가했다.
전 세계 시장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 김은 2010년 수출 1억달러를 달성했고 2019년부터 수산식품 수출액 1위를 꾸준히 지키고 있다.

한국 전통주인 막걸리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농식품수출정보(KATI)에 따르면 지난해 막걸리 수출량은 1만5천396t으로 2020년 1만2천556t과 비교해 22.6% 증가했다.
코로나19가 유행하기 전인 2017∼2019년만 해도 연간 막걸리 수출량은 1만2천t대에 그쳤으나 2020년 1만2천556t에서 2021년 1만4천643t, 지난해 1만5천396t으로 2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국가별 막걸리 수출량을 살펴보면 지난해 일본으로 수출한 규모가 8천140t으로 전체 수출량의 52.9%를 차지했다.
일본으로의 막걸리 수출은 2020년 6천277t에서 2021년 6천766t, 지난해 8천140t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지난해 우리 막걸리 수출액은 1천568만달러로 2021년과 비교해 0.5% 감소했다. 수출량은 늘었으나 수출액이 줄어든 것은 주요 수출국인 일본의 엔저 영향 때문이다.
업체들도 다양한 제품을 출시해 해외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서울장수는 일본 시장에서 '허니버터아몬드주'를 선보일 예정이며 국순당은 라인프렌즈 캐릭터를 적용한 막걸리 제품을 개발해 일본과 대만에 수출할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