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행정망 먹통 원인, 네트워크 장비 이상"…20일 시스템 안정화 총력

네트워크 장비 내 L4스위치 이상…늑장 원인 파악엔 "나중에 설명 드리겠다"

지방행정전산서비스 장애 대책 본부장인 고기동 행정안전부 차관이 1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지방행정전산서비스 정상화 관련 브리핑에 앞서 사과인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방행정전산서비스 장애 대책 본부장인 고기동 행정안전부 차관이 1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지방행정전산서비스 정상화 관련 브리핑에 앞서 사과인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1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청운효자동주민센터를 방문해 사흘째 이어지고 있는 정부 행정전산망 장애 복구를 위한 현장점검 도중 본인의 등본과 인감 서류를 발급하고 있다. 지난 17일 공무원 전용 행정전산망인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1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청운효자동주민센터를 방문해 사흘째 이어지고 있는 정부 행정전산망 장애 복구를 위한 현장점검 도중 본인의 등본과 인감 서류를 발급하고 있다. 지난 17일 공무원 전용 행정전산망인 '새올'에 이어 정부 온라인 민원서비스인 '정부24'도 서비스가 전면 중단돼 공공기관의 민원서류 발급이 올스톱됐다. 연합뉴스

사상 초유의 행정전산망 먹통 사태가 빚어진지 사흘째인 19일 정부는 '네트워크 장비 이상'을 사태의 원인으로 지목했다. 정부는 현장 민원이 재개되기 전까지 시스템 안정화에 총력을 다한다는 방침이지만, 세계 최고를 자부하던 '디지털 정부' 명성에 오점을 남겼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19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17일 오전 전국적으로 발생한 새올지방행정정보시스템 접속 오류는 이 시스템에 접속하는 'GPKI(행정전자서명) 인증시스템' 오류가 원인이 된 것으로 확인됐다.

행안부는 GPKI 인증시스템 내 네트워크 장비인 'L4스위치'에 이상이 있었으며, 문제가 발생한 부분을 전날 18일 새벽 교체해 서비스를 재개했다고 설명했다. L4스위치에 오류가 발생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전날 오전 9시 운영을 재개한 정부24는 이날 오후까지 별다른 이상 없이 민원을 처리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와 전날 오후 3시부터 현장 점검 중인 새올지방행정정보시스템도 큰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건은 사용자 접속량이 평일 수준으로 회복되는 20일에도 안정적으로 시스템이 유지되느냐다. 행안부 관계자는 "정부24와 더불어 새올지방행정정보시스템도 사실상 정상 작동하는 것으로 보고 있으나, 주말이라 현장 서류 발급 업무가 이뤄지지 않아 평일인 월요일 상황을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도 이날 오전 '지방행정전산서비스 장애 대책본부' 2차 회의를 주재하고 "지방행정정보통신망 및 네트워크 서비스 구간별 정밀 테스트를 추가적으로 실시하고 지속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초유의 행정망 마비 사태로 IT강국을 앞세운 디지털 플팻폼 정부 명성에 금이 갔다는 비판은 피할 수 없게 됐다. 이 장관은 같은 날 오후 서울 종로구 청운효자동주민센터를 방문해 '네트워크 장비 이상'이라는 원인 규명이 늦어진 데 대해선 "나중에 따로 설명해 드리겠다"며 즉답을 피했다.

정부24·새올지방행정정보시스템 네트워크 장비가 있는 행안부 산하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예산을 무작정 늘리기보다 근본적인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권인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행안부에서 제출받은 '2024 예산안 사업설명자료'에 따르면 내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 책정된 예산은 올해보다 약 17.2%(790억여원) 늘어난 5천433억여원이다.

권 의원은 "행정전산망을 관리하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 쏟아붓는 혈세는 매년 증가했지만, 시스템 관리의 내실은 부족했던 탓에 이번 사태가 발생한 것"이라며 "이제라도 기관에 투입되는 예산이 제대로 쓰이는지 점검하고, 재발 방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