짠 음식은 사람에게도 강아지에게도 경계해야 하는 식습관이다. 특히 심장병에는 염분이 좋지 않다.
심장병이 진행된 강아지에게 짠 음식은 절대 금물이다. 강아지 심장병은 어떤 증상이 있을까.
강아지가 밤새 기침을 하고 호흡곤란 증세를 보인다면 심장병을 의심할 수 있다. 노령견은 이첨판폐쇄부전증이라 불리는 심장병에 걸릴 수 있다.
대구 탑스동물메디컬센터 강민우 원장은 "이첨판폐쇄부전증은 6~7세 이상 노령견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며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의 이첨판에 퇴행성 변화가 생기면서 이로 인한 혈액의 역류와 심장비대를 유발하는 질환이다"고 설명했다.

심장은 모든 장기로 혈액을 보내어주는 펌프의 역할을 한다. 이첨판폐쇄부전증으로 인해 펌프 기능이 떨어지면 간담도계, 신장·비뇨기계, 호흡기계, 호르몬계 등 전신장기의 기능저하 및 기능부전을 가져올 수 있다.
이첨판폐쇄부전증은 일반적으로 20㎏ 이하 소형견에서 자주 발생하는 경향을 보인다. 카발리에 킹 스파니엘, 치와와, 미니어처 슈나우저, 말티즈, 포메라니안, 코커스파니엘, 페키니즈, 푸들, 닥스훈트 종에서 나타난다.
이첨판폐쇄부전증은 초기에는 뚜렷한 증상이 없으나 병이 깊어질수록 기침, 호흡곤란, 무기력, 운동능력 감소, 식욕 감퇴, 근육 감소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이첨판폐쇄부전증은 수의사가 청진을 하면 심장에서 잡음이 들린다. 또 흉부 엑스레이와 심장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미국 수의내과협의회 기준에 따라 A, B1, B2, C, D 5개의 단계로 나눠진다. 심장병 진행단계에 따라 저염식 등 적절한 식이조절, 영양제, 약물치료, 고농도산소방 등의 복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심장병은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단계가 진행되기 전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강민우 원장은 "심장병이 의심이 되는 경우에는 엑스레이 촬영, 심전도, 심장초음파 등의 검사를 통해 정확한 심장의 상태를 체크함과 동시에 이로 인한 다른 전신합병증에 대한 전반적인 검사가 매우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