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 문제로 몸살을 앓았던 안동‧영주댐을 관리하고자 환경 당국과 지자체 등이 수질관리협의체를 구성하는 등 관리 강화에 나섰다.
대구환경청은 28일 열리는 세계물포럼기념센터에서 '안동·영주댐 수질관리협의체'를 발족하고 첫 회의를 개최한다고 27일 밝혔다.
그간 안동댐과 영주댐 유역은 저수구역 내 무단경작과 퇴비 야적 및 과잉 살포 등으로 잦은 녹조에 시달렸다. 특히 지난해 여름에는 집중호우로 댐 상류의 오염물질이 대량 유입되면서 극심한 녹조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에 대구환경청은 지난달 안동·영주댐 유역을 녹조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했다.
또한 한국수자원공사와 경북도, 안동시, 영주시, 봉화군 등과 함께 수질관리협의체를 구성, 녹조 저감대책 등을 논의하기로 했다.
수질관리협의체는 우선 오염물질 배출 축소에 집중할 방침이다. 고정 시설에서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경우 합동 단속을 통해 집중 관리하고, 녹조 발생 시기 이전과 퇴비 살포시기에는 가축분뇨배출‧처리시설, 개인 하수처리시설 등을 점검할 방침이다.
농경지 등에서 오염물질이 배출되면 퇴비 현황 조사와 관리 계도·홍보 등을 추진한다. 댐 주변 하천부지 내 무단경작 금지, 허가경작 단계적 축소 등도 진행된다.
또한 녹조중점관리지역 중에서도 오염 우려가 높은 곳은 녹조우심지역으로 지정하고, 인근 축산 농가에 가축분뇨 인‧질소 유출을 저감하는 친환경 부숙제 지원 사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서흥원 대구환경청장은 "오염원 점검 위주의 대책에서 벗어나 녹조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 해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유관기관과 협력해 녹조저감대책을 충실히 이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구미 '탄반 집회' 뜨거운 열기…전한길 "민주당, 삼족 멸할 범죄 저질러"
尹 대통령 탄핵재판 핵심축 무너져…탄핵 각하 주장 설득력 얻어
尹 탄핵 선고 임박했나…법조계 "단심제 오판은 안 된다" 우려도
권영세 "美 민감국가 지정, 이재명 국정장악 탓…탄핵 악용 막아야"
홍준표 "탄핵 결정도 안 났는데 이재명 띄우기 여론 조사 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