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연세·고려대 의대 휴학 승인 검토, 지역대학도?

대량 유급 발생하면 의대생들 학교에 소송전 벌일 가능성 커
지역대학들 교육부 눈치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 해

정부의
정부의 '의대증원안'에 반대하는 전공의들이 의료현장을 이탈한지 3개월째인 20일 대구 시내의 한 의과대학 강의실이 텅 비어 있다.정운철 기자 woon@imaeil.com

서울의 고려대와 연세대 의대가 의대생들의 휴학 승인을 검토하는 가운데 대구경북 의대도 결정의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 지역 의대는 학생들의 불이익 방지를 위해서라도 휴학 승인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대학과 교육부와의 관계 등의 문제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

23일 의료계에 따르면 고려대 의대와 연세대 의대 학장이 의대 재학생들의 휴학계를 승인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연세대 의대는 지난 20일 이은직 의대 학장이 교수진에게 보낸 서신을 공개적으로 게시했다. 서신에 따르면 이 학장은 "학생들의 복귀에 대비해 마련된 대책들은 이제 학생들이 강의실로 돌아오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라며 "전체교수회의에서 올바른 의학교육을 견지하기 위해 어느 시점에서는 휴학을 승인할 수밖에 없다는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고려대 의대 또한 편성범 의대 학장이 교수들에게 직접 서신을 보내 휴학 처리가능 기한을 5월 31일까지로 결정했다.

이러한 소식이 알려지면서 지역 의대에도 의대생과 학부모들 사이에서 휴학을 승인해달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계명대는 최근 이 문제를 두고 학장과 의대생 학부모 사이 간담회를 열었다. 김희철 계명대 의대 학장은 "학부모들 사이에서 휴학 승인을 원하는 목소리가 높았다"며 "이달 말이 지나면 많은 학생들이 학칙 상 유급처리 대상이 되기 때문에 이를 우려하는 학부모들의 걱정이 많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아직 고려대나 연세대처럼 휴학 처리에 나서겠다고 뜻을 밝힌 대학은 아직 없다. 교육부가 의대생들의 휴학 처리를 막아달라고 각 대학에 요청한 이후 의대 학장에 위임 전결사항으로 맡겼던 휴학 처리를 대학 총장 결재까지 올리도록 바꾼 곳이 많고, 대학본부는 교육부와의 관계 문제 때문에 섣불리 이를 처리할 생각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의대 학장들은 학생들의 불이익 방지를 위해서라도 휴학 승인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쉽게 행동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김성호 영남대 의대 학장은 "이달 안에 휴학 처리를 해야 학생들이 더 이상 불이익을 받지 않지만 현재 휴학 관련 최종 결재를 총장이 하는 상황이다보니 상황이 여의치 않다"며 "만약 휴학 불승인으로 인한 유급이 발생하면 학생과 학부모가 소송을 통해 학교 측에 책임을 묻게 될 가능성도 크다"고 지적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