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에 도전하는 한국 축구대표팀이 수차례 중동발 '모래 바람'을 뚫어야 할 처지가 됐다.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22위 한국은 2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지역 3차 예선 조 추첨 결과 이라크(55위), 요르단(68위), 오만(76위), 팔레스타인(95위), 쿠웨이트(137위)와 함께 B조에 편성됐다.
이란(20위)은 카타르(35위), 우즈베키스탄(62위), 아랍에미리트(69위), 키르기스스탄(101위), 북한(110위)과 함께 A조로 묶였다. 일본(17위)은 호주(23위), 사우디아라비아(56위), 바레인(81위), 중국(88위), 인도네시아(134위)와 함께 C조다.
이번 월드컵부터 참가국이 32개국에서 48개국으로 확대, 아시아엔 본선 출전권 8.5장이 배정됐다. 종전보다 4장 늘었다. 이번 3차 예선에선 각 조 1, 2위인 6개국이 월드컵 본선에 직행한다.
각 조 3, 4위 6개국은 4차 예선에서 두 조로 나눠 경기 후 각 조 1위 2개국이 추가로 본선에 간다. 각 조 2위는 5차 예선을 치르고, 여기서 승리하면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통해 막차를 탈 기회를 노리게 된다.
한국으로선 5개 팀이 모두 중동에 있어 원정길이 험난하다. 특히 올해 초 열린 2023 카타르 아시안컵에서 뼈아픈 패배를 안긴 요르단, 이라크가 경계 대상. 다만 껄끄러운 북한이 속한 A조, 강호 호주와 신태용 감독이 이끄는 인도네시아가 있는 C조를 피해 대체로 무난한 조 편성이란 평가다.
일본은 아시아 국가 중 FIFA 랭킹이 가장 높다. 하지만 오세아니아의 강자 호주, 중동의 맹주 사우디와 한 조에 속해 월드컵으로 가는 길이 험난해졌다.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지지율 57%…긍정·부정 평가 이유 1위 모두 '외교'
대장동 민간업자 김만배·유동규 1심 징역 8년…법정구속
李 대통령 "韓日, 이웃임을 부정도, 협력의 손 놓을수도 없어"
'연일 한복' 김혜경 여사, 경주 산책하며 시민들과 '찰칵'
한중 정상회담 호혜적 협력관계 증진 공감대 이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