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집 '대구(大邱)'부터 2021년 10집 '팔공산'까지, 경상도 사투리로 1천 편의 시를 짓는 '연작 장시' 집필 작업을 통해 고향 대구의 인문지리를 풀어냈던 상희구 시인이 새 시집을 내놨다.
시집 제목이 된 '수선화 편지' 연작들을 비롯해 편지글 같은 장문의 작품부터 단 한 행의 글귀로 여운을 제공하고 생각거리도 던지는 작품까지 다양하다.
시인은 시집 말미에서 '누에'를 '타고난 예술가'로 조명한다. 누에의 고치를 두고 "가장 작은 체적에 가장 많은 실을 감을 수 있으며, 실이 쉽게 풀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감을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면서 "이러한 설계는 곧 하늘에서 내린 예술이며, 천의무봉(天衣無縫)과 무위자연(無爲自然)의 예술 활동"이란다.
또 시인은 '수선화 편지 40'에서 "인공지능 AI가 사람의 지능을 잠식해 끝내는 기계가 인간을 정복할 날이 멀지 않았다는 염려들을 쏟아내고 있다"면서 "그러나 AI로는 결코 온전히 형상화에 성공한 시를 한 편도 쓸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AI라는 기계로는 온전히 영혼을 구현할 수가 없기 때문"이라고도 말한다.
시인이 꿈꾸고 고민하는 '누에를 닮은 진정한 사람의 예술', 시(詩)와 시인(詩人)의 미덕을 다시 생각해보게 만든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
임은정, 첫 출근 "한때 존경했던 검찰 선배가 내란수괴…후배들 참담"
김민석 국무총리 첫 일정 농민단체 면담…오후엔 현충원 참배·국회의장 예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