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출생아·혼인 증가율 전국 1위…어메이징(Amazing) 대구

대구시 전경
대구시 전경

대구시가 올해 들어 5월까지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출생아 수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곳으로 나타났다. 대구시는 또 같은 기간 혼인 건수 증가율도 전국 평균보다 2배가량 웃돌면서 전국 1위에 이름을 올렸다.

최근 발표된 통계청의 '2024년 5월 인구동향' 조사에 따르면, 올해 5월까지 대구시 출생아 수는 4천142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4천59명)보다 2% 증가했다. 이는 전국 17개 광역시도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다.

대구를 제외하고 같은 기간 출생아 수가 늘어난 곳은 인천과 서울 2곳뿐이었다. 인천은 6천17명에서 6천115명으로 0.7% 증가했으며 서울은 1만 7천364명에서 1만 7천429명으로 0.4% 올랐다. 다만, 전국 출생아 수는 같은 기간 10만 2천29명에서 9만9천70명으로 2.9% 감소했다.

대구의 혼인 건수도 같은 기간 4천92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천420건) 보다 19.6%나 늘었다.

이러한 증가세의 바탕에는 타시도와 달리 결혼 적령기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대구에 사는 30~34세 인구는 2022년 14만 1천65명에서 지난해 14만 6천165명, 올해는 지난 5월 기준 14만 7천530명으로 매년 늘고 있다.

이는 오랜 기간 1인당 국내총생산(GDP) 후순위에 머물렀던 대구에서 최근 고용률이 개선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풀이된다. 동북지방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시의 15세 이상 고용률은 59.8%로 통계청 자료가 공개된 2000년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반면 청년(15~29세) 실업률은 6.3%로 역대 가장 낮았다. 취업자 증가는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대구시가 8조원이 넘는 투자 유치를 이뤄낸 것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앞서 홍준표 대구시장은 "지난 2년간 산업 혁신 분야에서는 대구의 주력산업을 ABB(AI, 블록체인, 빅데이터)·반도체·로봇·UAM·헬스케어 등 미래 5대 신산업으로 개편한 것이 주효했다"고 밝힌 바 있다.

대구 아파트값 하락에 따른 주거비 부담 완화도 혼인 건수가 늘어난 요인으로 분석된다. 현재 대구의 84㎡ 아파트 평균 가격은 3억 4천만원 수준으로 서울과 비교하면 30% 수준에 불과하다.

대구시는 현재 예식 비용이 1천만원이 넘지 않는 작은 결혼식을 하는 예비 부부에게 100만원을 지원하고 있는데, 이러한 출산 지원정책도 혼인과 출산율 제고에 한몫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올해는 80쌍에게 지원할 예정이며 현재 60쌍이 결혼을 했거나 할 예정이다.

또, 결혼 7년 이내 신혼부부에게도 최대 연 320만원의 전세 대출 이자 상환액을 지원하고 있으며 올해부터 다자녀 가정 기준도 3자녀 가정에서 2자녀 가정으로 완화해 각종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