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대는 청년기 과업 가운데 일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결혼·자녀 등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성은 노동 참여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남성은 가사 노동과 양육에 참여해야 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나 정책 수립에 이를 토대로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6일 국민통합위원회가 발주한 '2040 가족·노동역할 태도와 실태 연구' 보고서에는 20∼40대의 가족 및 노동역할 변화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한 결과가 실렸다.
이번 조사는 25∼44세 남녀 2천690명을 대상으로 올해 1월 31일부터 2월 14일까지 온라인으로 이뤄졌다.
응답자들은 청년기 삶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과업의 중요성에 대한 물음에 남녀 모두 '일'(38.1%)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했다.
'여가·자아실현 등 개인생활'이 23.1%, '연애·결혼 등 파트너십'이 22%, '자녀'가 16.8%로 뒤를 이었다.
자녀가 있는 경우에도 모든 집단에서 일이 가장 중요하다고 봤다. 0∼5세 자녀가 있는 여성의 경우 일(30.6%)과 자녀(29.1%)의 응답률이 비슷했지만, 같은 나이의 자녀가 있는 남성은 일(35.2%)이 자녀(25.6%)보다 중요하다는 비율이 높았다.
일의 의미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78%는 '생계를 위해서는 일할 수밖에 없다'고 답했다.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필요성에 대해 여성이 80% 안팎의 높은 동의율을 보였고, 남성도 70%가량 동의했다.
남성의 가사 노동 참여와 양육 역할 참여와 관련된 문항들은 남성(약 70%)과 여성(약 80%) 모두 동의도가 높았다.
노동, 가사·돌봄 참여 영역의 성 불평등 심각성 관련 질문에 응답자들은 '임신, 육아, 돌봄 등으로 인한 여성의 경력 단절'(80.2%)이 가장 심각하다고 봤다.
이어 '가사, 육아, 돌봄에서 남성의 낮은 참여'(72.8%)와 '성별 고정관념에 따른 직종과 직업 분리'(72.8%)를 같은 비율로 답했다.
보고서는 "여성의 노동역할 강화와 남성의 가족 참여 확대라는 성 역할 변화에 남녀 모두 높은 동의도를 보이는 만큼 이런 방향으로의 정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시점"이라며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기본으로 하는 정책적 지원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댓글 많은 뉴스
'험지 경북' 찾은 이재명 "제가 뭘 그리 잘못을…온갖 모함 당해"
홍준표 "탈당, 당이 나를 버렸기 때문에…잠시 미국 다녀오겠다"
이재명 "공평한 선거운동 보장", 조희대 탄핵 검토는 "당 판단 존중"
김문수 "당이 나를 공식 대선후보로 인정하지 않아" 유감 표명
국민의힘, 단일화 추진 기구 구성…"한덕수 측과 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