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노란봉투법과 방송3법 등 쟁점 법안에 대해 국회 본회의 무제한 토론(필리버스터)에 나서겠다고 예고했다. 여당이 '수적 우위'를 앞세워 이들 법안을 국회 상임위원회에서 통과시켰다는 이유다.
국민의힘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30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쟁점 법안이 (본회의 안건으로) 상정되면 법안 하나하나에 대해 무제한 토론을 계속 이어갈 생각"이라고 밝혔다.
송 비대위원장은 "다음 달 4일 방송3법을 비롯한 문제 있는 쟁점 법안들이 본회의에 상정되지 않을까 예상하는데, 소수 야당으로서 협상이 안 될 경우 유일한 방법은 필리버스터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다음 달 4일 국회 본회의에서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2·3조 개정안), 방송3법(방송법·방송문화진흥회법·한국교육방송공사법 개정안), 상법 2차 개정안 등을 처리한다는 방침이다.
이들 법안은 앞서 국민의힘이 불참한 가운데 소관 상임위원회 법안소위원회 또는 전체회의를 각각 통과했다.
국민의힘은 재계의 우려가 큰 노란봉투법에 대해선 "기업들의 반대를 외면했다"며 방송3법은 "언론 장악용"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모두 윤석열 정부가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했던 법안들이다.
다만, 필리버스터는 국회법에 따라 시작 후 24시간이 지나면 재적 의원 5분의 3(180명) 이상 찬성으로 종료시킬 수 있어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제외한 야당과 토론 종결에 동의하면 사실상 하루 만에 끝날 수도 있다. 국민의힘이 무기한으로 쟁점 법안 통과를 막을 수는 없는 상황이다.
송 위원장은 "(다음 본회의를 앞두고) 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를 한 번 만난 적이 있고, 앞으로도 계속 소통하며 의견 차이를 좁혀나갈 생각"이라면서도 "법안 강행 처리 경우 법안 내용 중 반헌법적, 위헌적 내용이 있을 땐 그에 대해서도 적절히 대응 조치를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한편 송 위원장은 이날 MBC 라디오에서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제안한 혁신안 수용 여부에 관해 "원내대표인 제 입장에서는 의원총회에서 의원들에게 다시 한번 보고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기 위해 다듬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당의 일방적인 독주에 대해 우리가 브레이크를 걸고 반대 입장을 충분히 내면서 목소리를 하나로 모으는 것이 중요하다. 그 과정에서 더 중요한 건 다음 달 22일 전당대회를 잘 준비하는 것"이라며 "(혁신안 작업을) 오늘까지 한다, 내일까지 한다 날짜와 시간을 정해놓고 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