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군은 산불 피해가 집중된 마을과 문화재 등에 대한 단계별 복구 방안을 마련했다.
단순 회복이 아닌 지방소멸대응 전략과 연계한 단계적·체계적인 접근을 통해 마을을 개선 복구하겠다는 취지다.
산불 피해가 집중된 단촌면 구계리는 오는 2028년까지 120억원을 투입해 마을 개선 복구 사업을 추진한다.
협소했던 소방도로를 확장하고 주차장 등 기반시설과 커뮤니티센터 등 주민 화합 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3개 마을 하나로 통합, 개발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주민 의견을 수렴할 방침이다.
화재로 소실된 고운사와 운람사, 만장사 등에 대한 복원 사업도 추진된다. 의성군은 정부 지원 등을 토대로 향후 6년 간 461억원을 투입해 이들 사찰을 복원할 계획이다.
문화재청과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등 전문기관과 협업을 통해 철저한 고증을 거쳐 원형을 복원하는데 집중하기로 했다.
상처받은 자연과 문화재가 함께 새로운 생명을 얻는다는 의미로 화재 피해를 입은 고운사 입구 천년숲길의 소나무도 복원 자재로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또한 교육전시관을 신설해 고운사 가운루와 연수전 화재 현장에서 수습한 부재 552점을 전시할 계획이다.
고운문화공원에도 16억원을 투입, 단순한 쉼터 공간에서 경관 명소로 만들 예정이다.
산불 특별법 제정에도 힘을 보태기로 했다.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산불 특별법은 실질적인 피해 구제와 지역사회의 재건, 기후 위기에 맞서는 국가적 대응 체계를 담고 있다.
김주수 의성군수는 "특별법은 지역사회의 체질을 개선하고 인구 유출과 지방 소멸이라는 장기적 위기를 막기 위한 현실적인 해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장동혁 "계엄 유발한 정청래, 내란교사범·내란주범"
김계리 "尹, 당뇨·경동맥협착·심장병…치료 안받으면 실명 위험도"
"땡전 뉴스 듣고 싶나"…野 신동욱, 7시간 반 '필리버스터'
[매일희평] 책임지지 않는 무한 리더십
한미 관세협상 타결 영향?…李 대통령 국정지지율 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