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주요국과 미국과의 무역 협상이 마무리되면서 '트럼프표 관세 전쟁'이 일단락되는 듯했지만, 주요 신흥국 및 품목별 관세 발표가 이어지면서 불확실성은 계속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드라이브가 무역 정책을 넘어 세계 경제 구조에 지속적인 파장을 일으킬 수 있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 미국은 브라질, 러시아,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과의 협상을 마무리짓지 못하고 있다. 브라질은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에 대한 정치적 압박을 이유로 총 50%의 관세 부과가 예고됐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전 종전이 관세 협상의 전제조건이 되며 '10일 이내 휴전'을 조건으로 강도 높은 2차 관세 경고를 받고 있다.
인도 역시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문제 삼아 25%에서 더 높은 관세 부과 압박을 받고 있으며, 남아공은 상호관세율 30% 적용을 눈앞에 두고 막판 협상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들 브릭스(BRICS) 국가들과의 협상을 단순한 경제 이슈를 넘어 외교·안보 카드로 활용 중이다.
이와 동시에 미국은 품목별 관세 강화를 예고했다. 철강·구리·알루미늄 등 기존 품목에 대해선 최대 50% 관세가 고정되어 있으며, 반도체·의약품 등 전략 산업 품목에 대해서도 신규 관세가 언급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CNBC 인터뷰에서 "의약품에 대해 1년 뒤 150%, 이후 250%까지 관세를 인상할 것"이라고 밝혀 파장을 키웠다.
문제는 이러한 품목들이 한국의 주요 수출품이라는 점이다. 자동차는 이미 15% 관세로 타결됐지만, 반도체와 의약품은 아직 관세율 확정 전이다. 관련 업계도 추가 품목별 관세가 시행될 경우 수출 경쟁력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고 우려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정책으로 미국은 몇 조 달러의 이익을 거두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미국의 2분기 경제성장률은 3.0%를 기록했고, 대규모 대미 투자가 이어지면서 고용과 제조업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미국 내에서는 인플레이션과 소비자 부담 증가에 대한 경고도 이어진다. 뉴욕타임스(NYT)는 "관세는 미국 기업과 소비자에게 가격 인상 리스크를 안긴다"고 지적했으며,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기업들이 증가한 원가를 소비자에게 전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관세는 인플레이션에 단기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보호무역이 장기적으로는 물가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고 말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4월~7월 사이 트럼프 행정부가 통보한 상호관세가 그대로 시행될 경우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이 0.2%포인트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댓글 많은 뉴스
장동혁 "계엄 유발한 정청래, 내란교사범·내란주범"
김계리 "尹, 당뇨·경동맥협착·심장병…치료 안받으면 실명 위험도"
"땡전 뉴스 듣고 싶나"…野 신동욱, 7시간 반 '필리버스터'
[매일희평] 책임지지 않는 무한 리더십
추미애 "체온 조절 위해 수의 벗었다는 尹, 변온동물이냐" 맹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