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미 정상 25일 안보·경제 '담판'…李, 취임 후 트럼프 첫 대면

혈맹 중요성 확인, 통상협상 후속 조치, 주한미군 위상 변화 등 논의 예정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6일 서울 한남동 관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해 수화기를 들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6일 서울 한남동 관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해 수화기를 들고 있다. 연합뉴스

현 정부 첫 한미 정상회담이 오는 25일 미국에서 열릴 전망이다. 경제와 안보 측면에서 우리나라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담판'이 눈앞으로 다가온 것이다.

정부는 정상회담 성과를 굳건히 하기 위해 양국 정상의 합의내용을 공동성명으로 발표하기 위해 공을 들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오는 24일쯤 미국을 방문해 25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질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은 방미 기간 워싱턴 DC 인근의 알링턴 국립묘지 참배·헌화 등 일정을 소화하면서 3~4일간 머무를 예정이다. 대통령실은 이 같은 내용의 방미 일정을 곧 공식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이 대통령 취임 이틀 뒤인 지난 6월 6일 전화통화로 인사를 나눴다.

한미 정상의 첫 대면에서는 ▷한미동맹 중요성 확인 및 심화 확대 ▷한미 통상협상 후속 논의 ▷한국·미국·일본 안보협력 강화 ▷우리 기업의 미국 투자 계획 등이 논의될 전망이다.

먼저 미국이 한미통상협상 합의조건으로 내건 우리의 대미 투자계획(3천500억달러, 약 485조원)을 구체화하는 대화가 오갈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소셜미디어에 올린 글을 통해 "(한국의 대미 투자) 금액은 2주 이내 백악관에서 양자 회담 때 발표할 것"이라고 압박했었다.

특히 그동안 대북억지에 주력했던 주한미군이 중국 견제에도 투입되는 방안 등을 포함한 '동맹현대화' 방안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이 그동안 대폭 인상을 요구해 온 주한미군 주둔비용 조정협의도 진행될 전망이다.

여권 관계자는 "정상회담에서는 긴 시간 이어 온 양국 간 신뢰관계에 대한 재확인이 기본이 될 것이고 현안인 통상협상 후속논의 그리고 주한미군 역할조정 및 방위비 분담 논의가 주요 주제가 될 것"이라며 "경제와 안보적 관점에서 우리나라에게는 매우 중요한 변곡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양국은 정상회담 합의사항을 문서 형태로 상호서명하고 공개적으로 발표할지 여부를 최종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 통상협의차 미국 워싱턴DC를 방문 중인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9일(현지시간)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및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 함께 미국 상무부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통상협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미 통상협의차 미국 워싱턴DC를 방문 중인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9일(현지시간)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및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 함께 미국 상무부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통상협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