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문예진흥원, 조직 진단 수억 쓰고도 통합 실패 책임은 누가?

특정 부서 소속은 '승진 유리' 의혹에 조직 내 위화감
대구시의원, "감사원 공익 실시해야" 주장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전경.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전경.

대구문화예술진흥원은 조직 통폐합 후 2022년 12월 '조직진단 연구용역'에 7천800여만원, 2023년 10월 '성과관리 체계 및 인력 운영 효율화 방안 수립'에 1억4천600만원 등 두 차례 걸쳐 외부용역을 실시하는데 모두 2억2천400여만원을 지출했다.

이 과정에서 대구시 감사도 수차례 진행됐지만 겉핥기 식에 불과해 방만한 조직 관리는 커녕이고, 통합에 따른 조직 내 갈등조차 3년 동안 봉합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전문직(무기계약직)과 일반직 직원들이 섞이는 과정에서 문화 분야 재직 경력이 짧은데도 더 빨리 승진하거나, 많은 연봉을 받는 등의 현실적 문제가 해소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진흥원은 지난해 7월 14명, 올 4월 18명 등 두 차례의 승진 인사를 통해 현재 1~2급 3명, 3~4급 46명으로 전체 일반직(정규직) 직원 144명 중 사실상 관리자 직급을 가진 이들의 비중이 40%를 넘어섰다.

한 직원은 "직원 입장에서야 승진 빠르고 월급 오르면 좋은 일이지만, 이대로 가다간 전체 진흥원이 일할 사람은 없고 간부급만 있는 기형적인 형태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조직 규모에 맞는 각 직급별 승진소요 최소 기간 조정이 필요한데 이런 규정은 개정되지 않고 있는 까닭이다. 행정안전부의 '지방공기업 인사조직 운영 기준'(2025년 7월)에 따르면 기관별 건전 경영 실천을 위한 최소 인력 유지를 위해 관리직 비율은 정원이 20% 이내에서 관리하도록 하고 있지만 그 2배에 달하는 인원이 통합 과정에서 관리직으로 올라섰다.

특히 2차례 걸친 승진자의 절반 이상(56%)이 기획경영본부(10명)와 오페라하우스(8명) 소속으로 분석돼, 문화예술본부(7명), 관광본부(5명), 감사실(1명), 대구문화예술회관(1명) 등과 형평성에 차이를 드러냈다.

1억5천만원에 달하는 거액을 들여 성과관리 체계를 점검했음에도, 제안된 '객관적 성과관리 체계(MBO)' 도입은 이뤄지지 않고 여전히 부서장들의 주관적인 줄세우기식 근무평정(70%)이 계속되고 있는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또 다른 직원은 "진흥원장의 수차례 지시에도 불구하고 인사팀 등 실무부서에서 성과체계 개편을 불이행한 것으로 안다"면서 "누가 봐도 특정 소속만 승진에 유리한 상황이 다들 달가울리 없다"고 털어놨다.

이같은 엉망진창의 진흥원 통합·운영에 대해 대대적인 수술이 불가피하다는 것이 문화계의 시각이다. 한 음악인은 "밖에서도 다 보이는 문제를 정작 그들 스스로는 외면하고 있다"면서 "진흥원은 본인들 자리 만들기에 급급한 행태를 멈추고, 문화예술인 지원이라는 본분에 전념해야 하는 것 아닌가"하고 일침을 날렸다.

대구시의회 한 의원은 "감사원 공익 감사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미 수차례 대구시 감사가 진행됐음에도 잡음이 끊이지 않는 상황에서 대구문예진흥원 문제를 직면하고 해법을 찾기 위해서는 누구나 수긍할 만한 공정한 감사와 대대적인 혁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감사원 공익 감사는 대구시의회 의장의 권한으로 요청하거나, 시민 300명 이상의 청원이 있을 경우 가능하다.

이 의원은 "현재 고발이 난무하면서 몇 개의 사안에 대해서는 경찰수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아는데, 경찰 수사 건에 대해서는 감사원 감사가 불가능하지만 나머지 운영 전반에 대해서는 문제점을 짚어낼 수 있다"면서 대구시의회 의원들의 동참을 촉구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