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7월 전국 상승 거래 비중 둔화…수도권은 6·27 대책 여파 뚜렷

청담동 일대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청담동 일대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지난달 전국 아파트 시장 상승 거래 비중 둔화한 가운데 서울·경기 등 수도권 지역이 6·27 대책 여파로 인해 하락 거래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 등 지방도 변동폭 미미하지만 상승 거래가 감소하고 하락 거래가 늘었다.

11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7월 전국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은 44.4%로 6월(46.5%) 대비 2.1%포인트(p) 하락했다.

같은 기간 하락 거래 비중은 38.4%에서 41.8%로 3.4%p 증가해 상승 거래는 줄고 하락 거래는 늘어나는 '하락 전환' 흐름이 나타났다.

이같은 흐름은 수도권에서 두드러졌다.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상승거래 비중은 45.0%로 6월(48.1%) 대비 3.1%p 줄었다. 이에 반해 하락 거래 비중은 35.1%에서 39.2%로 4.1%p 증가했다.

지방의 경우 변화가 크지 않았다. 7월 지방 아파트의 상승 거래 비중은 44.0%, 하락 거래 비중은 43.5%로 6월 대비 각각 0.2%p 감소, 0.4%p 증가해 미미한 수준이었다.

특히 대구는 상승거래가 6월 43.7에서 7월 43.3로 0.4%p 줄었고, 하락거래는 6월 42.9에서 7월 43.9로 늘었다.

직방 관계자는 "수도권 중심의 거래 위축이 지속될 경우 일부 지역에서는 가격 조정이나 매매가 하향 흐름이 더욱 뚜렷해질 수 있다"며 "특히 일부 지역에서 상승 거래 비중이 줄고 있다는 점은 시장 심리가 위축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