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봉투법이 한국의 주력 산업 현장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가 확산하면서 한미 관세협상에 기여한 조선·자동차 업계가 타격을 입고 있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화오션의 주가는 전날 대비 2.8% 떨어진 10만4천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달 8일(11만7천700원) 대비 11.63% 급락했다. 직전 거래일인 지난 11일에는 7.6%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다.
미국과의 협력 확대로 조선업이 제2의 전성기를 맞을 것이란 기대감이 높았으나 노란봉투법 추진이 찬물을 끼얹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법안이 통과될 경우 파업 등 쟁의행위의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조선업 생산 현장과 글로벌 공급망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
불확실성 확대로 자칫 대형 한미 협력사업의 수주와 진행이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조선업계는 원청과 하청 분업 구조 체제를 구축하고 있는데, 향후 노사 분쟁 심화되는 것은 물론 예측이 어려운 법적 리스크로 인해 불안정성이 가중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미 함정정비(MRO)와 마스가(MASGA) 등 대형 한미 협력사업 수주가 '쟁의행위 확대'로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불안감도 높다. 노란봉투법에는 '근로 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상의 결정'도 쟁의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또 쟁의행위의 상시화와 단체교섭 폭증도 불안 요소로 작용한다.
15% 상호관세 적용으로 북미 현지 생산을 늘려야 하는 완성차 업계의 셈법도 복잡해졌다.
현대차의 경쟁사인 도요타는 미국에 5곳의 완성차 공장을 두고 있으며, 현지 생산 비율이 약 55%에 이른다. 현대차와 같은 15%의 관세가 적용되지만 기존 공장의 생산 라인을 증설하면서 현지 생산을 확대해 관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반면 향후 현대차가 미국 현지 생산을 확대할 경우 노조가 제동을 걸 가능성이 높다. 노란봉투법 통과 시 해외 이전을 포함한 경영상 판단도 쟁의 대상이 될 수 있어, 이를 저지하기 위한 노조의 거센 저항에 부딪힐 수 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세계 최대 시장인 북미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상실한다면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가 좁아질 수밖에 없다. 노란봉투법에 국가대표 기업이 발목을 잡히는 꼴"이라고 했다.
조선·자동차·철강·건설 등 13개 업종은 공동성명을 통해 "노조법 개정안이 현재와 같은 형태로 시행될 경우, 산업현장은 극도의 혼란에 빠질 것"이라며 "노동조합법 제2조의 사용자 개념 확대와 제3조의 손해배상 책임 제한이 산업 현장에 심각한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하락에도 조국·윤미향·최강욱 사면 강행
李대통령, 조국·정경심·윤미향·최강욱 등 광복절 특별사면 [영상]
'조국·윤미향' 영향?…李대통령 지지율 56.5%로 최저치
대통령 '특정인 면죄부' 견제 없는 사면권…무소불위 권력 지적
조국 사면에 시민단체들 반발…"형기 30%만 복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