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새 정부 영향? 자사주 소각 급증…지난해 대비 2.6배↑

기업이 밀집한 서울 도심. 연합뉴스
기업이 밀집한 서울 도심. 연합뉴스

새 정부가 소액주주 권익 보호 강화 정책를 내세우면서 국내 주요 상장사들의 자사주 소각 건수와 규모가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치러진 6월 3일 이후 이달 14일까지 코스피·코스닥 상장사가 공시한 주식소각결정 건수는 총 45건으로 전년 동기(30건)보다 50% 증가했다.

소각되는 주식의 수와 소각예정금액은 1억4천527만주와 5조8천379억원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4천76만주, 2조2천122억원)보다 각각 256%와 164% 많아졌다. 소각예정금액만 보면 불과 한 해 전의 2.6배가 넘는 수준이다.

개별 기업별로는 HMM(8천180만주·2조1천432억원)의 주식 소각 규모가 가장 컸다. 이어 신한지주, KB금융, NAVER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대부분 '주주가치 제고 및 주주환원정책 확대'가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안지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부터 대형주 위주로 자사주 소각 발표가 이어지는 등 밸류업 프로그램이 진행돼 온 상황이지만, 최근 금융지주를 중심으로 비교적 큰 발표가 이어진 건 현 정부의 정책 모멘텀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